충북도, KTX 오송역세권 개발 포기로 가닥
입력 2013-04-11 22:54
충북도가 청원군 KTX 오송역세권 개발사업을 포기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아가고 있다. 공영개발과 주민 반발 등으로 고민을 거듭하고 있는 도가 포기를 시사하는 등 ‘출구전략’에 고심 중이다.
설문식 도 경제부지사는 11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검토하고 있지만 민간투자자 확보가 어렵고 공영개발 성공 가능성도 불투명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현재로서 결정된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하지만 사실상 사업을 포기하는 쪽으로 결론을 내린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박인용 도 바이오산업국장도 “최근 부동산경기 불황 등이 사업추진의 발목을 잡고 있어 향후계획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며 “이달 안에 역세권 사업에 대한 방향을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역세권 사업은 오는 12월 29일까지 개발계획을 수립·고시하지 못할 경우 도시개발구역 지정이 자동 해제된다. 따라서 도는 이후 절차를 고려해 아무리 늦어도 4월 안에 어떤 형태로든 결론을 내린다는 입장이다.
도가 사업 포기를 선언할 경우 역세권 사업 예정지 주민들과의 마찰은 불을 보 듯하다. 오송역세권 주민대책위원회는 도가 사업을 포기할 경우 10년 가까이 제한개발지역으로 묶어 놓았던 것에 대한 책임을 묻는 소송을 경고하고 있다. 개발기회를 노려 금융권에서 자금을 끌어다 쓴 주민은 자칫 파산 위기에 직면할 수도 있다는 위기감에 휩싸여 긴장하고 있다. 오송역세권 주민대책위원회는 지난 10일 충북도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역세권 주민들은 도의 정책만 믿고 2005년부터 9년 가까이 재산권 행사를 하지 못하는 불이익을 당해 왔다”며 “충북도가 무능력해 사업자를 선정하지 못하자 엉뚱하게 주민 핑계를 대면서 사업 백지화란 꼼수를 쓰고 있다”고 비난했다.
오송역세권 사업은 KTX 오송역 일대 50만1000㎡를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 오송생명과학단지 등과 연계해 개발하는 것이다. 도는 그동안 두 차례 민간사업자를 공모했으나, 참여업체가 없자 공영개발과 사업포기를 놓고 저울질 해 왔다.
청원=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