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이비통회장 “佛 안떠나”… 부자증세 반대해 벨기에 국적 신청했다 철회
입력 2013-04-11 19:07 수정 2013-04-11 22:15
부자증세 정책을 펴고 있는 프랑수와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의 정책에 반발해 벨기에 국적을 취득하려던 재벌 회장이 계획을 철회했다. 올랑드 대통령은 모든 은행에 해외에 설립한 자회사를 해마다 신고토록 하고 조세피난처도 박멸하겠다고 밝히는 등 세금회피에 대한 강력한 제재 의사를 밝혔다.
재산이 290억 달러(약 33조원)로 최근 포브스가 발표한 세계 부호 순위 10위에 오른 베르나르 아르노(64) 루이비통 모에 헤네시(LVMH) 그룹 회장은 10일자(현지시간) 르몽드와 인터뷰에서 벨기에 국적 취득신청을 철회했다고 밝혔다. 아르노 회장은 “프랑스에 계속 살 것이고 세금도 여기서 계속 내겠다고 수차례 설명했으나 헛일이었다”며 “모든 의혹을 불식시키기 위해 벨기에 국적 신청을 철회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철회 결정으로 프랑스에 대한 애정과 미래에 대한 신뢰를 보여주고자 한다”면서 “벨기에 국적 신청으로 사회적 논란이 일어난 것은 썩 유쾌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아르노 회장은 “매출의 90% 이상을 외국에서 올리면서도 LVMH그룹 납세액의 절반 이상인 10억 유로를 프랑스에 내고 있다”고 소개했다. 지난해 9월 그가 벨기에 국적 취득 신청을 한 사실이 알려지자 프랑스 사회는 올랑드 대통령의 부자증세 정책을 회피하기 위해 그런 게 아니냐는 비판이 줄을 이었다.
아르노 회장은 “벨기에 국적 신청은 세금 회피가 목적이 아니라 LVMH그룹을 온전히 지키기 위해서였다”고 강조했다.
한편 제롬 카위작 전 예산장관의 탈세스캔들로 정치적 위기에 빠진 올랑드 대통령은 조세피난처를 전 세계에서 영원히 없애버리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그는 10일 기자회견을 통해 “조세피난처는 유럽은 물론 전 세계에서 사라져야 한다”면서 “프랑스 은행은 해마다 해외의 자회사를 신고해야 하며 업무내용도 보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15일까지 모든 각료의 재산신고를 받을 것이며 이를 검증할 기구를 창설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프랑스는 카위작 전 장관의 탈세스캔들을 계기로 특별검사를 임명해 탈세와 부패 문제 등을 전담해 조사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제훈 기자 parti98@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