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문화재청, 반구대 암각화 보존 놓고 격돌
입력 2013-04-11 17:33
[쿠키 사회] 울산시와 문화재청이 국보 제285호인 울산 반구대 암각화의 보존방안을 둘러싸고 ‘충돌’ 양상으로 가고 있다.
11일 울산시와 문화재청에 따르면 원형보존론을 펴온 변영섭 청장이 취임하면서 반구대 암각화에 대한 보존방안에 대한 더욱 첨예한 입장차를 보이고 있다.
울산시가 수리모형실험을 거쳐 얻어낸 보존방안(생태제방설치안)을 새로 내놓았지만 문화재청은 여전히 울산시민들의 식수원인 사연댐 수위를 낮추는 방안이 최선책이란 입장에서 물러서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박맹우 울산시장은 지난 4일 지역 국회의원들과 가진 당정협의회에서 울산시의 방안을 관철 시켜주기를 정치권에 요청하자 문화재청은 다음날인 5일 박 시장의 전날 당정협의회 발언을 기사화한 일부 언론보도에 대해 즉각 해명자료를 내고 강하게 반박했다.
특히 문화재청은 이날 ‘수위조절안’ 여론 몰이를 하기 위해 최근에 만든 반구대 암각화 전담TF팀과 문화재담당 기자들을 대동하고 반구대 암각화를 찾았다.
강경환 문화재청 반구대 암각화 보존 TF팀장은 이 자리에서 “울산시민이 주요 식수로 이용하는 사연댐의 물이 일일 3만t 가량이 부족해지더라도 대암댐에서 당장 5만t이 가능하다”면서 “수위를 낮추면 당장 울산시민의 식수가 부족해진다는 울산시의 주장에는 억지가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박 시장은 “사연댐을 대체하는 맑은 식수를 받는다는 조건 하에 댐 수위 조절안을 수용했지만 운문댐 건설이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결론나는 바람에 조건부 보존대책안은 무산됐다” 반박했다.
박 시장은 이어 “문화재청은 울산시가 반구대 암각화 보존에 관심이 없는 것처럼 호도하고 있다. 반구대 암각화 보존에 앞서 시민들의 식수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처럼 이날 울산시는 수위조절안에 대해 ‘무용론’을, 문화재청은 울산시의 ‘지역이기주의’를 주장했다.
한편 울산지역 정치권의 움직임도 바빠졌다. 새누리당 울산대선공약추진단(단장 강길부 의원)은 “문화재청의 반구대 암각화 보존 TF팀이 구성됨에 따라 지역 국회의원들을 중심으로 박근혜 대통령 면담을 통한 조기 해결 등 추진단 차원에서 방안을 적극 모색키로 했다”고 밝혔다.
울산=국민일보 쿠키뉴스 조원일 기자 wcho@kmib.co.kr
[쿠키뉴스 인기 기사]
▶ “문재인 호남에 대못박아” 檢, 막말유세 김경재 등 기소
▶ 美 “북한, 탄도미사일 연료 주입 완료… 쏘면 요격”
▶ “후덜덜” 북한 미사일 진짜 발사하면 어떻게… 우리 정부 대응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