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보엔 불통 없다… 朴대통령, 국회·여야와 연쇄회동
입력 2013-04-10 20:14 수정 2013-04-10 22:31
박근혜 대통령이 정치권과의 소통에 본격 나섰다. 9일 새누리당 지도부와 만찬 회동을 가진 데 이어 10일 국회의장단을 청와대로 불러 오찬을 함께했다. 12일에는 민주통합당 지도부와 만찬 회동을 가질 예정이다.
그동안 정부조직 개편 과정에서 불거진 정치권과의 갈등을 해소하고 북한의 안보 위협에 대해 초당적으로 대처할 필요성이 제기된 데 따른 행보로 풀이된다. 특히 4월 국회에서 부동산 대책과 추경 편성 등 민생 관련 현안들을 신속히 처리하기 위해서는 국회의 협조가 긴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10일 “대통령이 취임한 뒤 정부조직 개편안이 표류하는 등 국정운영에 차질이 있었는데 이를 정상화하는 과정에서 국회, 여야와 만나는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는 또 민생과 직접 관련된 국회 상임위원회의 여야 의원들을 초청해 정부 입장을 설명하고 협조를 구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박 대통령은 국회 강창희 의장, 이병석(새누리당) 박병석(민주당) 부의장, 정진석 사무총장과 가진 오찬에서 “이번 국회에서 다뤄야 할 법안들은 한결같이 민생과 관련된 것”이라며 특히 부동산 정책과 추경 편성에 대한 협조를 당부했다. 박 대통령은 “안팎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서민들이 희망을 갖고 살 수 있도록 서민 관련 정책들이 적기에 시행될 수 있도록 잘 도와주시기 바란다”며 “아무리 좋은 정책을 내놓아도 타이밍을 놓치면 안 된다”고 말했다고 김행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강 의장은 “국회 상황이 예전과 많이 달라졌다. 청와대가 대국회, 대야 관계에 신경을 많이 써달라”고 요청했다.
아울러 박 대통령은 개성공단 유지발전 계획과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설명하며 외교·안보 정책에 대한 초당적 협조를 당부했다. 박 대통령은 “북한이 올바른 방향으로 간다면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는 그대로 유지된다”면서 “북한의 협박·공갈에는 어떠한 보상도 없다는 것이 확고한 정부 입장”이라고 재확인했다. 박 부의장은 대북 문제와 관련해 “정부 특사가 쉽지 않다면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역할 중재가 필요하다고 강조하자 좋은 제안이라는 말씀도 있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박 대통령은 전날 취임 후 처음으로 여당 지도부와 가진 만찬에서 “당 사람들이 보고싶어 상사병이 났다”며 “앞으로 모든 사안에 대해 당의 말을 많이 듣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황우여 대표 등은 “당이 쓴소리를 해도 대통령이 잘 받아들여 달라”며 적극적인 당청 소통을 강조했다.
민주당은 박 대통령이 국회와 소통에 나선 데 대해 “다행스러운 일”이라며 평가하면서도 대통령과의 첫 청와대 만찬에서 할 말은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윤관석 원내대변인은 논평에서 “부동산 대책, 추경 편성, 민생법안 등 4월 국회 현안은 물론 서민경제에 대한 국민의 고충의 소리를 최대한 전달하는 자리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김재중 유성열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