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통령-민주당 최우선 의제는 초당적 北 대처
						입력 2013-04-10 18:29  
					
				안보와 민생에 최선 다하는 정치 보여줄 기회 돼야
박근혜 대통령이 12일 민주통합당 지도부와 청와대에서 만찬을 함께 하기로 했다. 박 대통령과 야당 지도부가 처음으로 갖는 공식 만남인 만큼 상생과 소통의 정치를 회복하는 좋은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특히 북한의 브레이크 없는 도발 위협이 계속되는 엄중한 현 상황을 고려해 양측이 초당적 대처의 자세를 가다듬는 자리가 돼야 한다.
박 대통령이 그제 여당 지도부, 어제 국회의장단에 이어 정치권과 소통의 폭을 넓히고 있는 것은 오히려 늦은 감이 있을 정도로 당연한 일이다. 박 대통령은 그동안 여러 차례 여의도와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했고, 원활한 국정운영을 위해 국회의 협조가 반드시 필요함을 지적해왔다. 하지만 정부조직 개편 협상이 늦어지고 잇따른 후보자 낙마 사태가 빚어지면서 대좌의 기회를 잡기 어려웠다. 늦게나마 자리가 마련된 만큼 양측은 그간의 앙금을 털고 국민을 위해 머리를 맞대는 성숙한 정치의 모습을 보여주기 바란다.
현안은 산적해 있다. 부동산 경기 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지난 1일 내놓은 부동산 대책 후속 입법, 2.3%로 성장률 전망이 떨어진 경제를 살리기 위한 추가경정예산 편성 문제 등 민생 현안이 줄지어 있다. 박 대통령이 선거 과정에서 내놓았던 각종 개혁과 복지 공약들을 이행하는 방안을 다듬는 것도 중요한 과제다. 박 대통령은 야당의 고언을 열린 마음으로 듣고, 야당이 전하는 민심을 경청해야 한다. 민주당은 박 대통령의 국정운영 틀을 존중하는 가운데 제1야당의 위상에 걸맞은 생산적인 대안을 내놓아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안보 상황이다. 핵과 미사일을 앞세워 협박을 계속하던 북한은 그제부터 개성공단 공장 가동을 사실상 중단시켰고 무수단 미사일 발사를 비롯한 무력시위도 곧 실행에 옮길 태세다. 북의 위협에 지나치게 요란을 떠는 것은 북한에 왜곡된 신호를 줄 가능성이 있지만, 안보위협을 백안시하는 것도 안이한 태도다. 따라서 이번 회동의 첫 번째 의제는 북한 도발에 대한 초당적 대응이 돼야 한다.
박 대통령은 북한의 상황과 우리의 대응 기조 및 준비태세에 대해 야당 지도부에 충분한 설명을 하고, 범국가 차원의 협력을 당부해야 한다. 민주당도 북한의 위협이 중대한 도발 행위라는 인식을 공유하고 단호한 대처 의지를 공동으로 천명하길 기대한다. 북한이 최근 일부 사회단체에 반미 항전에 동참할 것을 선동하는 통지문을 보내는 등 남한 사회를 이간질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만큼 단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은 매우 필요하다. 가장 강력한 국방력은 통일된 정신력이며, 단합된 모습은 강한 도발 억지 효과를 갖고 있다.
민주당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이 “민생과 안보에 있어 적극 협조할 용의가 있다”고 밝힌 것을 환영한다. 이번 자리가 정치가 민생과 안보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믿음을 국민들에게 심어주는 기회가 되기를 고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