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나루] 친박은 살리고, 친이는 팽?
입력 2013-04-09 19:42 수정 2013-04-09 22:20
새누리당이 현기환 전 의원은 복당시킨 반면 이방호 전 사무총장의 복당은 불허해 구설수에 올랐다. 현 전 의원은 한때 친박근혜계 핵심이었고 이 전 총장은 원조 친이명박계로 불린다. 당 안팎에서 “친박은 살렸고, 친이는 팽당했다”는 뒷말이 나오는 이유다.
새누리당은 8일 비공개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시·도당의 재입당 허락을 받은 7명을 놓고 최종 승인 여부를 논의했다. 이 가운데 이 전 총장의 재입당만 유보됐다. 이 전 총장과 달리 현 전 의원의 재입당안은 신속히 통과됐다. 현 전 의원은 4·11 총선 공천헌금 파문으로 당에서 제명됐지만 수사 과정에서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9일 “당헌·당규상 해당 행위자의 복당 결정권은 최고위원회의에 있고, 시·도당의 결정은 참고사항일 뿐”이라며 “지역구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한 결과”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 전 총장의 복당 보류는 친박계의 ‘오랜 앙금’이 반영된 결과라는 해석이 많다. 한마디로 친박계의 복수라는 것이다.
이 전 총장과 친박계의 원한은 2007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전 총장은 그해 대선과 이듬해 18대 총선 과정에서 사무총장을 지내며 공천을 주물렀다. 그때 다수의 친박 인사들이 낙천했고, 그는 친박으로부터 ‘공천 학살의 주역’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이 전 총장은 친박계가 공천을 주도한 지난해 4·11 총선에서 공천을 받지 못하자 탈당해 무소속으로 출마했지만 낙선했다. 비공개 최고위원회에서는 “경남도당이 재입당을 승인한 것이니 최고위가 그대로 의결하자”는 의견도 나왔지만 일부 친박계 최고위원이 이 전 총장의 재입당을 강력 반대했다고 한다.
최구식 전 의원의 재입당안도 경남도당 차원에서 심사가 보류됐다. 최 전 의원은 2011년 중앙선관위 홈페이지에 대한 디도스 공격과 관련된 의혹으로 탈당했으나 지난해 6월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 최 전 의원은 친박 성향으로 분류되지만 친이계와도 교분이 두텁다. 성향이 애매해 외면 받은 것 아니냐는 말이 돈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