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평가보고서 5·4 전당대회 ‘직격탄’
입력 2013-04-09 18:27 수정 2013-04-09 22:18
9일 발표된 민주통합당의 대선평가보고서가 5·4 전당대회에 벌써부터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범(汎)주류와 비주류 간 대결구도가 구축된 상황에서 ‘주류 책임론’을 거론한 보고서가 당권 경쟁에 파급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범주류의 신계륜 의원은 KBS 라디오에 나와 “전대를 앞두고 이런 발표를 하는 게 어떤 정치적 저의가 있는 게 아닌가 의심이 들 정도로 적절한 때가 아닌 것 같다”고 밝혔다. 또 “문재인 전 대선 후보도 책임이 있을 수 있고 선거대책본부나 지도부를 구성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부분적인 책임이 있을 텐데, 원칙과 기준을 갖고 잘 다루었는지 말하기가 좀 어렵다”며 보고서의 객관성에 불만을 표출했다.
신 의원은 당 대표 후보를 3명으로 추리는 12일 예비경선 뒤 역시 범주류인 강기정·이용섭 의원과 단일화를 통해 비주류의 좌장격인 김한길 의원과의 대결을 노리고 있다. 때문에 다시금 대선 패배의 책임을 부각시키는 보고서는 주류·비주류를 대표하는 1대 1 싸움에서 걸림돌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대선평가보고서를 ‘불쏘시개’로 잘 활용해 범주류 결집 효과를 노릴 수도 있다. 김 의원 측도 이런 부분을 우려하고 있다. 김 의원 측은 반응을 자제하며 자체 혁신안 발표로 차별화를 꾀했다. 김 의원은 “대선평가보고서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여야 한다”고 밝힌 뒤 국회 기자회견에서 정당조직의 기능 강화, 정책대안 능력 향상, 강력한 리더십 확보 및 새로운 인물 충원 등을 주제로 한 3대 혁신과제를 발표했다. 그는 “당 대표와 최고위원, 시·도당 위원장, 지역위원장, 대의원을 당원이 직접 뽑고 당의 주요 정책에 대한 전(全) 당원투표제를 도입하겠다”고 말했다.
당 관계자는 “대선평가보고서를 전대에 활용하는 게 주류·비주류 양측에 마이너스일 것”이라며 “김 의원 측에서 보고서를 언급해봤자 주류 결집 빌미로 작용할 수 있고, 범주류 후보 측에선 대선 책임 논쟁을 거론하는 것 자체가 부담스러워 전술상 단일화에 일단은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백민정 기자 min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