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2009년 UAE와 금융거래… 위키리크스 외교전문 공개
입력 2013-04-09 18:10 수정 2013-04-10 00:38
북한이 장거리로켓(미사일) 발사와 핵실험을 잇따라 실시한 2009년 미국은 아랍에미리트연합(UAE)이 북한과 금융거래를 한 정황을 잡고 이를 중단할 것과 자산동결대상도 구체적으로 통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폭로전문사이트 위크리크스가 9일 공개한 미국 외교전문에 따르면 데이비드 코언 당시 미 재무부 차관보는 2009년 7월 16일 술탄 빈 나세르 알 수웨디 UAE 중앙은행 총재를 만나 이같이 요구했다.
북한은 그해 4월과 5월 장거리로켓 발사 실험과 2차 핵실험을 단행하며 한반도에 위기감이 고조됐다. 유엔안전보장이사회는 핵실험 한 달 만인 그해 6월 안보리결의 1874호를 채택했다. 결의에는 북한의 장거리로켓과 핵개발과 관련된 모든 금융기관에 대해 유엔회원국에게 거래 금지를 촉구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안보리 결의 채택 뒤 미 재무부는 행정지침을 통해 압록강개발은행을 비롯한 19개 북한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돈세탁 및 마약거래 등 불법 행위 여부를 예의주시하도록 미 금융기관에 주의를 촉구했다. 또 일부 기관의 불법 금융거래 내역을 확보하기도 했다.
1급 기밀(secret)로 분류돼 외부열람이 금지된 전문에서 코언 차관보는 유엔회원국인 UAE가 안보리 결의 1718호와 1874호에 따라 장거리로켓이나 핵실험과 관련된 금융기관이나 관련자의 금융거래를 차단할 의무가 있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또 조선광업무역개발회사, 단천은행 등이 제재대상에 해당된다며 UAE가 이들 은행과 거래를 중단하거나 관련자의 자산을 동결해줄 것을 요구했다. 코언 차관보는 두바이에 근거를 두고 단천은행에서 일하는 개인 1명과 조선광업무역개발회사가 조정하는 그린마운튼 일렉트릭스에서 일하는 개인 1명의 신상정보도 UAE 중앙은행에 넘겨줬다.
이에 수웨디 총재는 UAE의 모든 은행에 공문을 보내 북한과 관련된 거래를 중단하겠으며 두바이경찰에 요청해 관련자 신상정보를 추가로 확보하고 이들의 계좌도 즉시 동결하겠다고 약속했다.
코언 차관보는 2011년 1월 스튜어트 레비 차관에 이어 재무부 테러·금융정보 차관으로 승진했다. 이 자리는 북한과 이란 같은 핵개발 야욕을 보이는 국가에 대한 제재를 담당하는 곳이다. 그는 지난달 한국을 방문, 외교부 관계자와 3차 핵실험 이후 북한에 대한 금융제재방안을 논의했다.
이제훈 기자 parti98@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