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진주의료원 사태, 대화와 양보로 풀어라
입력 2013-04-08 18:46
휴업 중인 경남 진주의료원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정치권이 나선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진주의료원 폐업 여부를 둘러싸고 홍준표 경남지사와 의료원노조가 충돌한 가운데 민주통합당과 정부에 이어 새누리당이 대화를 통한 해결을 촉구한 것이다.
진주의료원 사태는 홍 지사와 노조의 힘겨루기로 시작됐다. 홍 지사는 “지난해 말 현재 누적 부채가 279억원에 달하고 회생이 불가능하다”면서 폐업시킨다는 카드를 꺼내들었다. 그는 “진주의료원 직원이 240여명인데 지난해 외래환자는 하루 평균 200여명에 불과했고, 강성 노조가 의료원을 지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노조는 “누적 부채 가운데 220억원은 건물 신축 때 빌린 돈이고 6년째 임금이 동결된 상태”라고 반박했다. 의사들 월급은 많지만 직원들은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한 치의 양보도 없이 서로에게 책임을 전가하며 맞붙은 형국이다.
보건복지부는 충분히 논의하라는 입장을 피력했고, 민주당은 폐업에 적극적으로 반대하면서 박근혜 대통령이 문제를 해결하라고 요구했다. 새누리당 민현주 대변인은 7일 논평을 통해 “제반 문제 해결을 위한 충분한 논의와 공론화 과정을 거치려는 노력이 부족했다”고 지적했다. 문제가 더욱 악화될 조짐을 보이자 협상을 촉구한 셈이다.
마주보고 달리는 기차는 충돌해 탈선할 수밖에 없다. 탈선으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승객들에게 돌아간다. 진주의료원 문제도 마찬가지다. 홍 지사와 노조가 정면충돌하면 의료 사각지대에 방치된 힘없고 가난한 이들만 피해를 본다. 홍 지사와 노조는 지금이라도 공공 의료기관의 역할·책무·기능을 곰곰이 되새겨야 한다.
중앙 정치무대에서 잔뼈가 굵은 홍 지사는 차제에 정치력과 조정력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 독불장군 식으로 밀어붙이면 파국을 맞는다는 점을 잊어선 안 된다. 의료원 폐업은 새 정부의 복지 확대 정책에도 걸림돌로 작용한다. 노조도 전향적인 자세를 보여줘야 한다. 의료원의 경영난을 인정하고 구조조정을 포함한 자구책 마련에 적극 나서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