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장의 한반도] 金국방 “北 전면전 징후 없다”

입력 2013-04-04 18:16 수정 2013-04-04 22:15

김관진 국방부 장관은 4일 “최근 북한이 3차 핵실험 이후 다양한 방법의 수사적 위협과 군사력 시위로 전쟁 분위기를 조장하고 있다”며 “도발하면 즉각적이고 강력한 응징을 하겠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국회 국방위원회 업무보고에서 “현재 북한의 전면전 도발 가능성은 적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기동부대와 수송부대, 군수지원이 종합적으로 준비돼야 전면전이 가능하다. 북한은 그런 징후가 없다”면서도 “국지도발 가능성은 항상 있다”고 덧붙였다.

김 장관은 가장 먼저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북한의 도발 형태를 묻는 질문에 “예단하기는 어렵지만 우려되는 것은 도발 주체가 불분명한 후방 테러, 폭발, 암살 등이 주종을 이루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또 서북도서 지역 도발, 연평도 포격 유형의 도발 등도 북한의 위협으로 꼽았다. 그러나 국지도발 시 북한 내 김일성 부자의 동상을 정밀 타격할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북한 핵 소형화 가능성과 관련해 “북한의 핵 공격이 어떤 방법, 유형으로 올지 모르지만 만일 공격 징후가 있다면 확인하는 순간 당연히 선제타격은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최첨단 미국 무기들이 우리나라에 투입되고 있는데 누가 요구했느냐”는 질문에는 “대부분 3차 핵실험 이후 우리 정부가 요청한 것으로 비용은 미측이 부담한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전날 새누리당 북핵안보전략특별위원회 회의에서 ‘북한 도발 시 5일 이내에 적 전력 70%를 괴멸시킬 수 있다’고 보고했다고 알려진 것에 대해 “5일 이내에 적 장사정포 전력 70%를 무력화시킬 수 있다고 말한 것이 잘못 알려졌다”고 정정했다.

엄기영 김현길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