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장의 한반도] 한·미 ‘원자력 협정’ 온도차

입력 2013-04-03 18:34

2일(현지시간) 한·미 외무장관 회담 뒤 공동 기자회견에서 존 케리 국무장관의 발언이 다양한 관측을 불러일으켰다.

케리 장관은 내년 3월 만료되는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과 관련해 “나는 박근혜 대통령의 미국 방문 이전에 타결될 것이라는 데 매우 희망적”이라면서 “적절한 형태로 지속할 수 있고 지속될 관계라고 자신한다”고 말해 원자력협정 개정 문제가 돌파구를 찾은 게 아니냐는 추측이 제기됐다.

케리 장관은 또 한국이 원자력 분야에서 국제 리더로 부상한 것을 환영한다고 전제하고 협정 개정을 통해 “합의된 방식으로 (양국 간 원자력 협력을) 계속해 나가지 않을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이에 대해 외교부 당국자는 “원자력협정 개정 시한이 합의된 것은 없다. 케리 장관의 말은 미국 측도 가능한 한 조속히 타결하고 싶다는 원칙적 입장 표명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다른 외교 소식통도 “케리 장관의 발언은 원자력협정 협상을 가능한 한 이른 시일 내 끝내자는 미국 측의 희망과 의지, 기대를 반영한 것으로, 우리로서는 시기도 중요하지만 내용이 더 중요하다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박노벽 외교부 한·미 원자력협정 협상전담 대사가 다음주 워싱턴DC를 방문해 로버트 아인혼 국무부 비확산·군축담당 특보와 만나 본격 협상을 벌일 것으로 알려졌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