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공산 국립공원 지정 추진 찬-반 대립 심화
입력 2013-04-02 19:57
광주 무등산 국립공원 지정(지난해 12월 27일 확정) 이후 대구·경북도 지역 명산인 팔공산(도립공원)의 국립공원 승격을 위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하지만 개발을 반대하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아 조속한 합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상황이다.
2일 대구시 등에 따르면 경북도와 대구시는 무등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되기 이전인 지난해 12월 18일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을 추진하기 위한 협의회 구성에 합의했다. 국장급 인사를 팀장으로 8명 규모로 구성됐다. 협의회는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에 관한 공동 연구’ ‘팔공산 역사·문화·생태·자원 조사’ ‘산림문화 휴양공간 조성’ ‘관광 콘텐츠 개발’ 등을 논의 중이다.
특히 시는 팔공산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관광·휴양·레저를 함께 즐길 수 있는 전국적 명소로 만든다는 큰 그림을 그려놓고 있다. 국립공원으로 승격된 이후엔 환경부, 국립공원관리공단, 경북도와 함께 세부적인 발전 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시민단체들도 힘을 싣고 있다. 지난달 6일 대구·경북 시민단체 60여곳이 모여 구성한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 시·도민추진위원회’는 오는 6일 대구 동성로에서 지역 84개 시민단체 회원 등 1000여명이 모인 가운데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 범시·도민 결의대회’를 열 예정이다.
하지만 반대하는 쪽도 쉽게 물러설 기미가 없다. 팔공산 인근 주민 50∼100명은 다음주 중으로 ‘팔공산 국립공원 지정 주민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할 예정이다. 이들은 또 팔공산 주민과 지주 1만5000∼2만여 명을 상대로 국립공원 지정의 문제점을 알리고 국립공원 지정 반대 결의대회 등을 열 계획이다. 비상대책위 관계자는 “팔공산이 국립공원으로 승격되면 규제가 더 강화돼 그동안 피해를 본 주민들이 또 다시 손해를 보게 될 것”이라며 “시나 도가 주민들이 만족할 만한 의견을 내놓지 않을 경우 결사반대의 뜻을 굽히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구시 관계자는 “오해가 있어 일부 주민들이 반대하고 있지만 주민들이 피해를 보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홍보해 찬성을 이끌어 낼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