低신용자 울리는 ‘하이브리드 카드’… 최고 29.9% 高利 떼간다
입력 2013-04-02 18:17 수정 2013-04-02 22:00
카드사들이 체크카드에 신용카드 기능을 더한 ‘하이브리드 카드’를 내놓고 20% 후반대 고금리 연체이자를 적용해 저신용자들의 ‘등골’을 빼먹고 있다. 정부가 가계부채 축소 등을 목표로 대대적인 활성화에 나선 체크카드가 저신용자들을 겨냥한 변칙적인 카드로 둔갑해 거꾸로 저신용자들을 벼랑 끝으로 내몰고 있다는 지적이다.
국민일보가 2일 주요 카드사의 하이브리드 카드를 확인한 결과 최대 연 29.9%의 연체이자를 물리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소액 신용결제 기능을 부여한 하이브리드 카드는 지난해 여신전문금융업법 개정으로 신용카드 발급이 어려워진 저신용자의 편의를 위해 금융 당국이 허가를 내줬다. 올 들어 본격 출시된 이후 약 3개월 사이 신한카드 36만명, 하나SK카드 13만명, KB국민카드 10만명이 발급받았다. 지난 1일 출범한 우리카드 역시 하이브리드 카드를 전략 상품으로 꼽을 정도로 카드업계의 새로운 수익상품으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독자적인 연체 관리 시스템 없이 기존 신용카드 연체이자를 고스란히 적용하는 꼼수를 부리고 있다. 신한카드는 연 23.0∼29.5%, 하나SK카드는 24.0∼29.9%, KB국민카드는 23.5∼23.9%, 우리카드는 23.0∼29.0%의 고금리 연체이자를 부과하고 있다. 금융 당국이 부실 위험도가 높은 저신용자의 특성을 감안해 월 30만원의 신용결제 한도 설정, 1인당 2장의 발급매수 제한 등으로 부실 위험을 낮췄음에도 불구하고 카드업계는 오히려 이를 기회로 고리 장사에 나선 셈이다.
여기에다 카드업계가 무분별하게 발급 대상마저 확대하면서 신용카드 대신 체크카드 사용을 장려하는 개정 여전법의 입법 취지를 무색하게 만들고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카드사들은 그동안 체크카드 발급을 늘리긴 했지만 마땅한 수익구조를 개발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어왔다. 그러나 ‘돈이 되는’ 신용결제 기능을 추가한 하이브리드 카드가 인기를 얻자 앞 다퉈 영업에 나서고 있어 과당 경쟁 우려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국민일보는 4개 카드사에 하이브리드 카드 발급 기준과 연체율을 문의했지만 이들은 모두 ‘내부 기밀’이라며 답변을 거부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저신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도입된 하이브리드 카드 시장이 무분별하게 과열 조짐을 보이고 있어 적절한 대응 방법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강준구 진삼열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