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민영화 이번엔 성사시켜야”… 이팔성 회장, ‘3전4기’ 강조
입력 2013-04-02 17:34
창립 12주년을 맞은 우리금융그룹이 민영화를 위해 배수진을 쳤다. 이팔성 우리금융 회장은 창립기념사를 통해 지난 정부에서 세 번이나 실패한 민영화를 올해에는 반드시 성사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회장은 2일 창립 12주년 기념사에서 “민영화야말로 글로벌 금융그룹으로 나아갈 수 있는 필수조건”이라며 “모두가 힘을 합쳐 함께 이뤄야 하는 중차대한 과제”라고 밝혔다. 이어 민영화를 위해 “임직원 모두가 한마음 한뜻으로 조직의 역량을 모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회장이 창립기념사에서 콕 집어서 민영화를 언급한 것은 내부 경쟁력, 조직 생산성 등의 하락이 두드러지고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신제윤 금융위원장이 “우리금융 민영화가 지연되면서 조직이 지나치게 정치화됐다”고 꼬집을 정도다. 신 금융위원장은 “관치가 없으면 정치가 되고, 정치가 없으면 호가호위하는 사람들의 내치가 되는 것”이라며 강도 높게 비판하기도 했다.
일단 우리금융 민영화를 둘러싼 외부 여건은 나쁘지 않다. 복지재원을 충당하기 위해 공적자금 회수가 절실한 정부는 최대한 빨리 우리금융을 민영화한다는 방침이다. 우리금융에 들어간 공적자금은 12조7663억원이고, 아직 회수하지 못한 돈은 약 7조1475억원이다. 여기에 매년 발생하는 예보채 이자만 2800억원에 달해 정부로서도 마음이 급하다.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우리금융 사외이사 출신인 점도 긍정적이다.
하지만 장밋빛 일색은 아니다. 대내외적으로 경제 상황이 완전하게 회복 흐름을 타지 못하고 있어서다. 당장 7조원(추정 매각가격)에 이르는 거액을 낼 인수자를 찾기가 쉽지 않다. 1차 매각 때 유력 후보였던 하나금융지주는 외환은행을 인수해 여력이 없다.
농협금융지주의 경우 신동규 회장이 직접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매각 방식도 분리매각, 일괄매각, 국민주 방식 등이 거론되고 있지만 아직 어느 것 하나 정해진 것이 없다.
진삼열 기자 samu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