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험 하우스푸어 3만 가구 추정
입력 2013-04-02 17:33
정부의 ‘4·1 부동산대책’에 따라 주택지분의 일부를 넘기게 될 고위험 하우스푸어(주택담보대출 3개월 이상 연체 가구)는 3만 가구로 추산됐다.
자산관리공사(캠코)는 금융회사가 보유한 이들 고위험 하우스푸어의 대출채권을 오는 6월부터 70∼80% 가격에 할인 매입한 뒤 당사자의 동의를 받아 원금상환을 미루고 장기 분할상환 방식으로 바꿔준다고 2일 밝혔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부도가 나면 그만인 신용대출을 다루는 국민행복기금과 달리 주택담보대출은 대출금을 회수할 수 있는 담보물이 있어 할인율이 낮다”고 설명했다.
올해에는 고위험 하우스푸어 가운데 1200∼1500가구가 시범적으로 지원받을 것으로 보인다. 캠코가 올해 대출채권 매입으로 1000억원을 책정했는데, 여기에 70∼80%의 할인율을 적용하면 1500억원 규모의 대출채권을 사들일 수 있게 된다. 가구당 주택담보대출이 평균 1억원 안팎이기 때문에 구제받을 수 있는 가구는 최대 1500가구다.
캠코가 대출채권을 100% 보유하면 주택 소유자에게 나중에 되살 수 있는 조건으로 주택지분을 일부 넘기고 월세를 사는 선택권을 준다. 금융위는 조만간 캠코와 협의해 주택지분을 넘긴 하우스푸어의 임대기간, 임대료 등을 정할 방침이다. 원금 탕감이나 이자 감액은 없다.
한편 금융위는 캠코의 대출채권 매입 전 단계인 주택금융공사의 대출채권 매입과 원금상환 유예, 금융권의 사전채무조정(프리워크아웃) 등도 활성화할 계획이다.
금융위는 은행권이 다음 달까지 자체적으로 프리워크아웃 가이드라인을 만들도록 했다.
김찬희 기자 c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