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복수국적 허용확대 공감… 장관직 걷어찬 김종훈 영향?
입력 2013-04-02 11:45 수정 2013-04-02 11:48
[쿠키 정치] 여야가 복수국적 허용대상 확대에 공감대를 표했다. 미국 시민권을 가진 상태에서 미래창조과학부 후보자로 낙점됐다 ‘한국 정치에 절망했다’며 물러난 김종훈씨 사건이 계기가 된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 원유철 의원과 민주통합당 김성곤 의원은 2일 국회 정론관에서 함께 마이크를 잡고 공동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동포사회 권익신장에는 여야가 따로 없다”며 “복수국적 허용대상 확대와 해외 한글교육 지원 강화, 재외국민용 주민증 발급, 거주국에서의 지방참정권 부여 등을 적극 추진키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원 의원은 새누리당 재외국민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으며, 김 의원은 민주당 세계한인민주회의 수석부의장 직함을 갖고 있다. 정치권은 지난 대선 재외동포 투표권의 위력을 실감한 뒤로 해외동포 권익 신장과 관련된 정책 도입에 적극적이다.
두 의원은 “대한민국이 세계 속 선진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해외동포들이야말로 소중한 인적 자산”이라며 “우수한 인재들이 모국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복수국적 허용대상을 확대해야 한다”고 했다.
정치권의 이런 언급은 사흘전 김종훈 전 미래부장관 후보자가 미국 워싱턴포스트(WP)에 보낸 기고문과 일맥상통한다. 김 후보자는 31일 ‘민족주의에 좌절해 한국에서 돌아왔네’라는 기고문에서 대한민국 장관직을 걷어 찬 계기가 ‘마녀사냥의 희생양’이 됐기 때문이라고 털어놓았다. 본인은 미 중앙정보국(CIA)의 첩자로, 부인은 성매매 연루 의혹에 시달렸다면서 한국의 적대적 현실을 미국 주류 사회에 널리 알렸다.
미국에 머물고 있는 김 전 후보자는 글에서 한국을 향해 “21세기에는 국적에 대한 낡은 편견에서 벗어날 수 있는 국가와 경제가 가장 성공할 것”이라며 “출신과 상관없이 전문지식이 있는 인재를 끌어들일 수 있는 이민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훈수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우성규 기자 mainport@kmib.co.kr
[인기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