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과 함께 ‘서울 미래 100년 도시계획’ 짠다

입력 2013-04-01 22:54


서울시가 올해를 ‘미래 100년 도시계획’의 원년으로 삼고, 차별화된 도시계획 토대를 마련키로 했다. 건설과 성장 위주가 아닌 정비와 재생에 초점을 맞추고, 시민참여 및 문화유산 보전 등도 적극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이를 위해 연내 도시계획의 헌법 역할을 할 ‘서울 도시계획 헌장’을 제정하겠다고 1일 밝혔다. 도시계획 정책자문단이 만들고 있는 헌장에는 도시계획 수립 때 시민 참여, 역사문화유산 보전계승, 보행 및 녹색교통 위주의 토지이용 등 장기적으로 지향해야 할 가치가 담길 예정이다. 박원순 시장은 브리핑에서 “1912년 일제에 의한 ‘경성시구 개수계획’ 발표 이후 서울은 1970년대 강남 개발, 80년대 한강의 기적을 거치면서 세계적 도시가 됐지만 사람과 공동체에 대한 배려가 미흡했다”면서 “미래 100년 도시계획은 다양한 가치를 고려하고 시민이 참여하는 기회를 늘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는 또 다음 달 최상위 도시계획인 ‘2030 서울 도시기본계획’을 발표할 계획이다. 여기에는 20년 뒤 서울의 미래상인 ‘소통과 배려가 있는 행복한 도시’의 구체적 내용이 담기게 된다. 아울러 시는 내년 도심부 역사문화자원 관리방안 등을 담은 ‘역사도심 관리기본계획’을, 2015년 말 까지는 2∼3개 동을 단위로 한 지역 밀착형 관리체계 ‘생활권 계획’ 및 ‘한강변 관리계획’을 각각 완성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이를 통해 도시관리 패러다임이 기존 건설과 성장에서 정비와 재생으로, 사업성 논리보다는 공동체 논리로 바뀔 것으로 기대했다.

시는 특히 도시계획 수립부터 실행까지 전 과정에 세입자, 상인, 인근지역 주민 등 다양한 구성원이 참여하는 협력적 관계의 틀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박 시장은 “취임 후 뉴타운, 용산개발 등 도시계획과 관련한 사회적 갈등이 끊이지 않았는데 개발이익을 얻는 주체와 터전을 잃게 될 이들의 이해관계를 충분히 고려해 서로 양해할 수 있는 과학적 기준을 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시는 이날 미래 100년 도시계획의 일환으로, 법령상 공원녹지 범주에 한정됐던 공원의 개념을 도시 전체로 확장해 어디서나 10분 내 공원에 갈 수 있도록 하는 ‘푸른도시 선언’을 선포했다. 공공조경가 및 시민들이 작성한 선언의 핵심은 산, 하천, 가로, 광장, 골목길, 옥상, 텃밭, 학교운동장, 유수지까지 공원으로 삼아 누구나 녹색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최정욱 기자 jw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