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개발 불똥 오송역세권 튀어
입력 2013-04-01 22:46
채무불이행(디폴트)에 빠진 서울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의 불똥이 충북 오송 역세권사업으로 튀었다.
1일 충북도에 따르면 도는 KTX 오송역 일대 50만1000㎡를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 오송생명과학단지 등과 연계 개발하기 위해 지난달 29일까지 민간자본 유치에 나섰으나 신청 업체가 없었다.
도는 민간자본 유치를 통한 역세권 개발이 사실상 무산됨에 따라 공영개발 방식으로 사업을 추진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도와 청원군, 청주시가 3100억원으로 추정되는 개발사업 예산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아 현재로선 현물 투자방식이 유력한 상황이다. 자치단체가 도·시·군 소유지를 내놓으면 충북개발공사가 이를 담보로 금융권에 대출을 받거나 지방채를 발행해 개발자금을 확보하는 것이다.
그러나 지방채 발행 규모는 담보 부동산 가치의 3배를 넘지 못하게 규정돼 1000억원 이상의 현물 확보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지역주민 반발도 만만치 않다. ‘원주민대책위원회’는 도가 개발면적을 162만3000㎡에서 64만9000㎡로 축소한 것에 반발해 오는 25일까지 오송화장품뷰티박람회장 주변과 오송역 등에서 역세권개발 관련 집회를 벌일 예정이다. 요구사항이 반영되지 않을 경우 화장품박람회를 무산시키겠다는 으름장까지 놓고 있다.
박인용 도 바이오산업국장은 “청주시, 청원군이 참여하는 공영개발 등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며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이달 안에 개발방식을 최종 결정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도시개발구역을 지정한 날(2011년 12월 30일)로부터 2년이 되는 올해 12월 말까지 사업시행자 선정, 실시계획 수립, 고시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역세권 지구지정은 자동 해제된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