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산 국립공원 승격 이후 광주지역 개발 사업, 유원지·온천지구 ‘활기’·도심 고층빌딩 ‘난항’
입력 2013-04-01 21:16
지난해 말 국립공원 승격 이후 광주지역 개발사업의 명암이 엇갈리고 있다.
무등산 자락 유원지와 온천지구는 활기를 띠게 된 데 비해 도심 고층빌딩 신축은 발목이 잡혔다.
광주시는 1일 “1972년 도립공원 지정 이후 40년 만에 무등산이 국립공원으로 승격되면서 공원면적이 30.2㎢에서 75.4㎢로 배 이상 늘었다”고 밝혔다. 신규 편입지역은 대부분 개발제한구역에 묶여 사유재산권 행사는 까다로워졌다.
또 조망권 보호를 위해 금남로 옛 전남도청 앞 분수대를 기점으로 18만㎡에 대한 용적률과 건폐율 등 건축행위 규제가 대폭 강화된다. 시는 이를 위한 도시관리계획 변경안을 이달 중 고시하고 해당지역 건축물의 높이를 최고 42m로 묶기로 했다. 따라서 앞으로 도심에서 고층빌딩을 지을 경우 광주시 경관위원회 심의를 의무적으로 받아야 한다.
반면 2002년부터 개발이 중단된 지산유원지의 경우 국내·외 탐방객 증가로 유스호스텔 건립과 상가조성 등이 추진될 공산이 커졌다. 광주의 대표적 유원지로 호텔과 케이블카, 어린이 놀이시설 등이 설치된 이 곳은 민간사업자의 경영악화로 30여 년간 6차례나 사업주체가 변경되는 우여곡절을 겪었다.
1998년 IMF 경제위기 이후 7차례 실시된 법원 경매절차에 따라 2003년 사업개발권자가 ㈜라경인터내셔널로 다시 바뀌었으나 투자여건이 성숙되지 않아 개발이 활성화되지 못한 상황이다.
무등산 어귀 제1수원지 일대에 1991년 지정된 40만6000㎡의 운림 온천지구 역시 자연훼손을 우려한 환경단체의 반대로 사업자인 ㈜프라임월드가 그동안 온천개발에 손을 대지 못했다. 하지만 40만5000㎡에 편백나무와 삼나무가 빼곡한 운림 온천지구는 국립공원 승격을 계기로 탐방객들이 산림욕을 즐기는 ‘자연학습장’으로 전환돼 개발사업이 본 궤도에 오를 전망이다.
김동수 시 공원녹지과장은 “무등산 보존을 위한 규제는 최소화될 것”이라며 “도심 고층빌딩에 대한 건축제한은 대승적 차원에서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