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등이냐 협력이냐… 갈림길 선 黨·靑

입력 2013-04-01 18:26

고위 공직자 부실 인사와 청와대 불통 문제로 집권 한 달 만에 심각한 균열상을 드러낸 새누리당과 청와대가 향후 갈등관계를 지속할지, 협력적 긴장관계로 나아갈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첫 당·정·청 워크숍에서 분출한 당의 불만에 청와대가 자세를 낮추면서 갈등은 일단 봉합됐지만 여진이 계속되고 있다. 유기준 최고위원은 1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새 정부의 성공을 위해서는 과감한 직언도 아끼지 않아야 한다”며 “당에서도 정치권의 목소리를 청와대와 정부에 제대로 전달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우택 최고위원은 당·청 간 소통을 위해 정무장관 및 특임장관의 부활 필요성을 제기했다. 정 최고위원은 “대통령의 지지도 하락 원인 중 하나는 소통의 문제”라며 “정부 쪽에서는 정무장관이나 특임장관이 보임되고 청와대 쪽에서는 정무수석이 소통 문제에 앞장설 때 조금 더 원활하게 갈 수 있다”고 밝혔다.

박근혜 정부의 성장 담론인 창조경제의 모호한 개념에 대한 논란도 이어졌다. 이한구 원내대표는 “성장잠재력을 확충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이 창조경제인데 구체적인 프로그램과 추진체계가 국민들한테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점은 매우 아쉬운 점”이라며 조속한 보완책 마련을 촉구했다. 하지만 서병수 사무총장은 “창조경제를 놓고 이런저런 시비가 벌어지고 있는데 박근혜 정부의 국정운영 철학에 흠집을 내보겠다는 시도가 엿보인다”고 지적했다.

당·청 갈등을 계기로 고조된 당내 비판적 분위기는 다음 달 원내대표 경선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친박(親朴·친박근혜) 진영의 최경환 이주영 의원과 비박(非朴·비박근혜)계 남경필 김기현 의원이 경쟁하는 구도에서 각 주자들은 의원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당·청 관계 설정에 고심하고 있다.

당초 박근혜 정부 출범 후 첫 집권 여당의 원내대표인 만큼 박 대통령에게 힘을 보태 새 정부의 국정운영을 뒷받침할 인사가 적임이라는 주장이 당내 주류를 형성해왔다. 이른바 ‘박심(朴心)’을 누가 얻느냐가 초점이었다. 하지만 의원들이 청와대를 견제하고, 대통령에게 직언을 할 수 있는 사람이 원내대표가 돼야 한다는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이른바 ‘당심(黨心)’의 중요성이 커진 것이다.

이런 가운데 원조 친박 핵심인 최 의원이 ‘실세 원내대표론’과 ‘청와대 견제론’을 동시에 들고 나왔다. 최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박 대통령을 수시로 만나 설득할 수 있는 사람이 원내대표가 돼야 한다”며 “하지만 청와대 비서진과 내각이 대통령을 잘못 보필한 것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견제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박(新朴·신박근혜계)으로 분류되는 이 의원도 박 대통령과 같이 일해본 경험을 내세우면서도 당내 비판적인 목소리를 대변할 수 있는 적임자임을 강조하고 있다. 남 의원은 당이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고 대통령에게 쓴소리를 할 수 있는 사람이 필요하다며 비박계 의원들을 대상으로 세 규합에 나서고 있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