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교일 서울지검장, 지난해 정부부처 고위공직자 재산증가 1위

입력 2013-03-29 10:42

[쿠키 사회] 지난해 행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고위공직자의 70%가 재산이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최교일 서울지검장의 재산 증가폭이 가장 컸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29일 관보를 통해 국가 정무직, 고위공무원단 가등급, 기초·광역 지방자치단체장, 광역의회의원, 시·도 교육감 등 총 1933명의 지난해 말 기준 재산변동 신고내역을 공개했다. 이들이 신고한 재산총은 평균 11억7000만원으로 2011년 말 기준(11억8200만원)보다 평균 1200만원 감소했다.

하지만 이들 중 재산 증가자는 1378명(71.3%)에 달했다. 2011년 말 기준 재산 증가자(62.2%)보다 9.1%포인트 늘어난 것이다. 공직자윤리위원회 측은 이들의 재산 증가요인에 대해 부동산 공시가격, 주식 평가액 상승, 급여저축 등을 꼽았다. 실제 지난해 공동주택 공시가격은 4.3% 올랐고(2011년 0.3%), 개별단독주택 공시가격도 5.28% 상승(2011년 1.04%)하는 등 전년보다 오름폭이 커졌다.

이번에 재산을 공개한 공직자 중에서는 진태구 충남 태안군수가 230억6174만4000원을 신고해 재산이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최교일 서울지검장은 지난해 말 기준 재산이 119억7133만6000원으로 전년(99억6729만9000원)보다 20억403만7000만원 늘어난 것으로 신고해 재산증가 1위에 올랐다. 본인과 배우자 명의의 건물가액은 33억7562억9000만원에서 26억7569억5000만원으로 줄었지만 본인과 배우자, 자녀(2명)가 보유한 예금이 52억1950만8000원에서 82억3005만2000원으로 30억원가량 늘었다.

광역단체장 중에서는 강운태 광주시장이 39억9267만1000원으로 가장 많은 재산을 신고했으며 염홍철 대전시장(24억8806만6000원), 박준영 전남지사(22억8193억2000원)가 뒤를 이었다. 반면 박원순 서울시장은 지난해 재산총액을 -5억9473만5000만원이라고 신고했다. 선거보전금 일부 기부·펀드 상환 등에 따른 것으로 전년(-3억1056만8000원)보다 채무가 늘었다. 또 시·도교육감 중에서는 김복만 울산교육감의 재산이 38억3390만2000원으로 가장 많았다.

한편 공직자윤리위원회는 이번에 공개한 공직자들의 재산변동사항에 대해 6월 말까지 심사할 예정이다. 심사 결과 공직자가 등록 대상 재산을 허위로 기재하거나 과실로 누락 또는 잘못 기재했을 경우 공직자윤리법 제8조의 2에 따라 경고 및 시정조치, 과태료 부과, 해임·징계의결 요청 등의 조치를 내릴 방침이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최정욱 기자 jwchoi@kmib.co.kr

[인기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