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 남강유등축제-서울 등축제 ‘불꽃 갈등’
입력 2013-03-27 20:33
경남 진주시와 서울시가 ‘등(燈)축제’를 놓고 갈등하고 있다.
진주시와 시의회는 1947년부터 이어온 ‘진주남강유등축제’가 ‘서울 등축제’ 때문에 관광객을 빼앗기고 있다며 서울시에 등축제 중단을 요구하고 있다.
서울시는 올해 5년째 ‘서울 등축제’를 열겠다는 입장이다.
진주시는 27일 진주실내체육관에서 시민, 시·시의회 관계자 4000여명이 참석한 ‘서울 등축제 대응 비상대책위원회 발대식’을 갖고 조직적인 ‘서울 등축제’ 중단 활동에 돌입했다.
비대위는 ‘서울등축제’가 중단되지 않을 경우 진주시민과 전국민의 서명운동, 대규모 상경집회, 서울시 상대 소송 등으로 강력히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비대위는 “진주의 고유하고 독창적인 남강유등축제를 계속 모방하는 서울시는 부끄러워해야 한다”며 “역사성과 정통성이 살아있는 진주남강유등축제를 시민의 힘으로 지켜내기 위해 모든 물리적, 법적 방법을 동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비대위는 매년 11월 초 청계천 일원에서 열리는 ‘서울 등축제’가 대한민국 대표축제인 ‘진주유등축제’를 사실상 베낀 것이라고 판단, 서울시에 등축제 중단을 촉구했다.
진주지역 시민사회단체들도 “서울시가 당초 2010년 한국방문의 해를 맞아 ‘서울 등축제’를 열었고 이제 그 목적을 달성했으니 반드시 중단해야 한다”면서 “서울시의 ‘짝퉁’ 등축제를 비난하는 여론이 팽배하다”고 밝혔다.
이창희 진주시장은 “서울시에서 예산을 확대 투입해 계속 경쟁한다면 결국 매년 10월 열리는 진주유등축제는 위축될 것”이라며 “지역 축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가 비슷한 축제를 열지 못하도록 하고 있는데도 서울시는 이를 어기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서정협 서울시 관광정책관은 “서울등축제는 매년 300만명이 관람할 정도로 널리 알려진 인기 축제이고 등축제가 진주만의 고유 행사가 아니어서 중단 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다”면서 “진주시와 협의해 두 축제가 상생·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찾겠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진주유등축제 홍보에 적극 협력하고, 축제 아이템을 차별화하는 방안 등을 진주시에 공식 제안한다는 방침이다.
진주=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