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오른 4·24 재·보선] ‘정권 심판’ vs ‘야권 심판’ 한판 승부
입력 2013-03-27 18:37
여야가 27일부터 4·24 재·보궐선거 채비에 본격 착수했다. 이번 재보선은 당초 새 정부 출범기라 여당의 압도적 우위 상황에서 치러질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박근혜 정부의 잇단 인사(人事) 실패와 정부조직법 개편을 둘러싼 볼썽사나운 대치 등과 맞물려 ‘정권 심판’ 대(對) ‘야당 심판’ 구도로 치러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3곳의 국회의원 선거구 중 민심의 바로미터로 꼽히는 수도권에서 치러지는 서울 노원병 보궐선거가 대표적인 심판론 선거구로 떠올랐다. 새누리당 허준영 전 경찰청장과 무소속 안철수 전 서울대 교수가 양강을 형성한 가운데 2명의 진보 계열 후보가 뛰어든 상황이다. 안 전 교수가 평소 ‘새누리당의 확장’을 반대해 왔기 때문에 자연스레 여야 대결 구도로 펼쳐지게 됐다. 안 전 교수에게 ‘유감’이 있는 야권 유권자들이 그에게 다시 손을 내밀어줄지가 승패의 관건이다.
박 대통령의 총괄선대본부장을 역임한 새누리당 김무성 전 의원과 민주통합당 김비오 지역위원장이 맞붙는 부산 영도 재선거 역시 대선에서 패배한 문재인 의원이 선거운동에 적극 뛰어들 조짐이어서 ‘심판 선거구’로 부상했다. 충남 부여·청양 재선거는 야당에선 아직 마땅한 후보도 못 찾았을 정도로 새누리당 이완구 전 충남지사의 독주가 예상된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