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통근시간이 수도권 집값 좌우

입력 2013-03-27 18:10

서울 강남권으로 출퇴근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수도권 집값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교통연구원은 27일 보고서를 통해 강남권 직장을 기준으로 수도권 주택 매매가격은 버스 통근시간과 -0.759, 지하철 통근시간과 -0.763의 상관관계를 각각 나타냈다고 밝혔다.

상관관계가 1에 가까우면 정비례 관계, -1에 가까우면 반비례 관계로 해석된다. 따라서 강남 지역까지 통근시간이 길수록 집값은 떨어지고, 통근시간이 짧을수록 집값은 올라간다는 결론이 나온다.

강남권 출퇴근 시간이 집값에 미치는 영향력은 수도권의 다른 업무지역에 비해 월등히 크다. 수도권의 전체 직장인 통근시간과 주택가격 사이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버스 통근시간과는 -0.521, 지하철 통근시간과는 -0.511을 각각 기록했다.

특히 통근시간은 주택 매매가격보다는 전세가격에 좀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전세가격은 버스 통근시간과 -0.595, 지하철 통근시간과 -0.558의 상관관계를 각각 기록해 매매가격보다 밀접했다. 특히 강남권 버스 통근시간과는 -0.845, 강남권 지하철 통근시간과는 -0.829의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