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행 ‘금기 정책’도 시도?… 5년 이상 장기국채 매입 시사
입력 2013-03-27 17:45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 총재가 경기부양을 위해 그동안 일본은행이 금기시했던 정책을 만지작거리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7일 보도했다.
구로다 총재가 일본 중의원에 출석해 파기를 시사한 금기는 우선 5년 만기 이상의 장기국채를 매입하는 것이다. 일본은행은 그동안 3년 만기 국채에 한정해 매입해 왔다. 또 국채 매입 규모의 한도를 폐지하고 통화완화 프로그램 구조를 단순화하는 것도 그동안 일본은행이 금기시했던 것들이다.
구로다 총재는 “효과적인 통화완화 정책을 도입하기 위해 모든 정책적인 수단을 고려하겠다”며 “통화완화는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모두 진행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문은 구로다 총재가 장기국채 매입을 시사한 것은 일본이 디플레이션을 탈출하기 위해 효과가 극대화되는 정책적 수단을 총동원하겠다는 의사표현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다음달 3∼4일로 예정된 통화정책 결정회의에서 물가상승 목표를 2%로 상향 조정한 일본은행이 얼마나 강력한 조치를 취하려는지 의지를 드러내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앞서 구로다 총재는 21일 가진 취임 기자회견에서도 만기 여유가 있는 국채를 매입하거나 ‘무기한 양적완화 방식’을 당초 2014년이 아닌 조기에 도입하는 방식으로 국채 매입 속도를 올리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양적완화로 인한 거품 우려에 대해서도 “버블에 대한 우려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단언하며 오히려 회사채와 상장투자신탁 등 국채에 비해 리스크가 높은 금융상품 구입 확대까지 검토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제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