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일본, 교과서 왜곡할수록 國格은 떨어진다

입력 2013-03-26 21:04

지난해 3월 일본 문부과학성 ‘교과용 도서 검정조사심의회’의 검정을 통과한 고교 사회과 교과서 39종 가운데 21종에 ‘독도는 일본 땅’이라는 기술이 들어갔다. 일본군위안부 문제는 삭제하거나 간략하게 기술한 경우가 많았다. 이어 올해 검정을 통과한 고교 사회과 교과서 21종 가운데 15종에 독도 관련 내용이 포함됐다. 종전의 12종에서 3종 더 많아진 것이다. 표현도 강해졌다. 예전에는 ‘한국이 점거했다’거나 ‘일본 고유의 영토’라고 적었으나 이번에는 ‘한국의 일방적인 점거’라고 기술한 교과서가 나왔다. 기가 찰 노릇이다.

아베 신조 총리가 이끄는 자민당이 지난해 말 우경화 공약을 쏟아내며 총선에서 압승을 거둔 만큼 이런 경향은 어느 정도 예견됐다. 아베는 과거사에 대한 반성을 담은 교과서를 ‘자학사관’으로 규정하고 교과서 검정과정에서 주변국의 우려를 반영하는 이른바 ‘근린조항’을 수정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에 따라 일본의 미래세대조차 그릇된 역사인식을 가질 소지가 커졌다는 건 심각한 일이다.

일본의 역주행은 일본에게도 아무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일본의 얄팍한 속내를 국제사회가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이 억지를 부릴수록 일본을 향한 국제사회의 시선은 차가워질 것이다. 더욱이 현재 동북아 정세는 북한 김정은의 망동으로 불안하다. 역내 안정을 위해 한국과 중국 일본이 힘을 뭉쳐 북한의 도발을 저지해야 할 때다. 일본 정부가 ‘과거사 장난’으로 한국과 중국을 자극할 상황이 아니라 진심어린 사과를 해야 한다는 얘기다.

다행스러운 점은 일본의 양심적인 인사들이 목소리를 내고 있다는 것이다. 와다 하루키 도쿄대 명예교수는 신간 ‘동북아시아 영토문제,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서 독도에 대한 주권 주장을 일본이 빨리 단념할수록 바람직하다고 적었다. “조선의 식민지 지배를 반성하는 입장에서 한국의 독도 지배를 불법점거라고 주장하는 것은 도의가 아니다”는 것이다. 고지도 수집가인 구보이 노리보가 소장한 지도를 공개하면서 “독도는 한국 땅”이라고 밝힌 적도 있다. 일본 정치인들이 귀담아 들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