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역 관광활성화 정부가 발목 잡아… 시내면세점 신규 설립 불허

입력 2013-03-26 19:05

해외관광객 1000만명 시대를 맞고 있지만 정부가 일부 지방자치단체의 면세점 설립을 규제, 관광활성화의 발목을 잡고 있다.

부산시와 부산관광공사는 ‘시내면세점’ 신규허용을 요구하는 건의서를 관세청 등 정부부처에 발송했다고 26일 밝혔다. 또 시와 관광공사 관계자 등으로 구성된 대표단이 이날 다른 지자체 관계자와 대책을 협의하기 위해 상경했다.

시와 관광공사가 이처럼 건의서를 보내고 대책마련에 적극 나선 것은 새 정부 출범 후 잘못된 관행을 바로잡지 않을 경우 향후 사업추진이 더욱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관세청은 최근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시내면세점 신규 특허공고를 내면서 부산과 서울, 제주 등 기존 시내면세점이 있는 지자체는 배제했다.

앞서 시와 관광공사는 관세청에 시내면세점 추가 설립을 건의했다. 연간 외국인 관광객 45만명이던 1995년까지 파라다이스와 롯데면세점이 들어선 이후 18년간 부산지역에 시내면세점이 추가로 설립되지 않았고, 그동안 외국인 관광객 수가 연간 260만명이 찾을 정도로 크게 늘었다는 점을 들었다.

부산관광공사는 지난해 공사 설립과정에서 외국인 관광 활성화와 수익사업을 위해 부산 용호동에 1000㎡ 규모의 공사 직영 시내면세점 신규 설립을 추진해 왔다.

공사는 명품 브랜드 위주의 기존 면세점과 달리 시내면세점을 통해 식품·화장품·건강식품·도자기·미술작품 등 부산지역 특산물을 판매하겠다는 전략을 세웠었다.

부산관광공사 관계자는 “올해 부산의 외국인 관광객 유치목표 300만명 달성을 위해 시내면세점 추가 설립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