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 인사 검증 논란] “靑 인사시스템 개선해야” 與 ‘비박’ 목소리 커진다

입력 2013-03-26 18:35

새누리당 비(非)박근혜계 인사들은 26일 일제히 청와대에 인사시스템 개선을 촉구했다. ‘인사 참사’가 되풀이되지 않으려면 박근혜 대통령이 ‘나홀로식’ 독단적 인사 스타일을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다.

비박계를 대표해 차기 원내대표 출마를 고민 중인 남경필 의원은 MBC 라디오에 출연해 “대통령이 직접 인사를 하고 그것을 위에서 내려주는 방식이라면 검증팀의 무능은 둘째 문제가 될 것”이라며 “대통령이 인사하는 방식을 바꿔주는 것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이라고 지적했다.

김용태 의원 역시 KBS 라디오 인터뷰에서 “단수후보 내정 후 검증에 돌입하는 톱다운 방식과 인사검증팀의 눈높이가 국민과 언론의 눈높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며 “인사팀에서 검증된 복수의 후보 가운데 인사권자가 선택하는 방식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 정부에서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지낸 정병국 의원은 “인사에서 코드가 중요하지만 코드는 인재를 등용해 쓰면서 만들어가는 측면도 있다”며 “단순히 일을 같이해본 사람을 쓰기보다는 좀 더 넓게 인재를 등용하겠다는 대통령의 마인드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민정수석실의 부실 검증과 무능을 질타하는 목소리도 드높다. 조해진 의원은 “김학의 전 차관 낙마의 경우 의혹이 정리되고 난 뒤에 발탁하셔도 된다고 말씀드릴 책임이 민정라인에 있다”면서 “한만수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의 경우 시간이 촉박해 해외 비자금 계좌를 찾아내지 못했다고 하는데 야당의원이 입수할 수 있는 정보를 어떻게 청와대가 입수하지 못하느냐”고 비판했다.

이들은 향후 당 지도부가 청와대에 ‘쓴소리’를 마다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도 내놨다. 새 정부 출범을 전후로 말을 아꼈던 비박계가 보다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낼 것이라는 관측이다. 조 의원은 “‘여당이 제대로 역할을 못하면 큰일 나겠다’는 염려가 든다. 이제부터는 당이 제 역할을 해야 한다는 움직임이 많이 일어나고 있다”고 당내 분위기를 전했다. 김 의원도 “청와대가 더 이상 인사실패를 하지 않도록 비판할 것은 비판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