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철 MBC 사장 해임] 징계성 인사 뒤집힐지 주목… 황희만·최명길 등 사장 물망
입력 2013-03-26 18:25 수정 2013-03-26 22:14
MBC 김재철 사장은 해임됐지만 MBC가 정상궤도에 오르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방송문화진흥회는 26일 해임결의안 통과 직후 최강욱 이사의 브리핑을 통해 “그간의 인사 조치를 비롯해 봉합 안 된 문제들이 많기 때문에 MBC가 상당기간 소용돌이에 휘말릴 수도 있을 것”이라며 “경영지침을 내려서 하루빨리 안정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당장 최장기 파업 과정에서 빚어진 해고자 복직 및 파업 참가자에 대한 징계성 인사 조치에 시선이 쏠린다. 김 사장 재임 기간 방송 공정성 문제를 지적했다는 등의 이유로 해고된 사람은 정영하 노조위원장을 포함해 모두 8명. MBC 관계자는 “신임 사장과 새로운 임원진이 누가 되느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YTN 등 다른 언론사의 해고자 처리 전례가 있는 만큼 쉽게 풀리진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지난해 7월 노조가 파업을 접고 업무에 복귀한 뒤 이뤄진 대규모 인사 발령 조치가 뒤집힐지도 주목된다. 파업에 참가했다는 이유로 인사조치가 이뤄진 직원 가운데 50여명은 아예 다른 직종으로 전보 발령됐고, 80여명은 업무와 무관한 교양교육을 받았다. 지난 21일 법원이 ‘전보발령 효력정지 가처분신청’을 받아들인 데 이어 김 사장도 물러나면서 이들의 원직 복귀에도 파란불이 켜졌다. MBC 노조는 “신임 사장이 선임되면 대화를 통해 풀어나가겠다”고 밝혔다.
결국 후임 사장 인선이 사태 해결의 실마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방문진은 29일 이사회를 열어 신임 사장 공모 절차를 포함한 각종 후속 조치를 논의할 계획이다. 황희만 전 MBC 부사장, 최명길 MBC 보도국 유럽지사장, 구영회 전 MBC 미술센터 사장 등이 하마평에 오르내린다. 신임 사장 임기는 김 사장 잔여 임기인 내년 2월까지다. 하지만 누가 사장으로 오더라도 누적된 사내 갈등을 봉합하는 일이 쉽지 않으리라는 전망이 많다. 극한에 다다른 노사 갈등뿐 아니라 파업자와 비파업자 등 노노 갈등 또한 심각하다.
한번 실추된 방송 신뢰도와 경쟁력 회복도 MBC 정상화를 위해 시급한 과제다. 김 사장 재임기간 시청률 1위를 달리던 MBC 뉴스데스크가 3위로 내려앉는 등 프로그램 시청률은 바닥을 쳤다. 시사 및 보도 프로그램이 공정성 시비에 휘말렸고, 크고 작은 방송 실수로 시청자 신뢰도도 크게 하락한 상황이다.
특히 정치권 개입 의혹 등이 불거질 경우 사태가 악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MBC 노조는 성명을 내고 “김재철 체제의 가장 큰 교훈은 공영방송이 정치권에 휘둘려서는 안 된다는 것”이라며 “방문진이 차기 사장 선임에서 정치권으로부터 독립을 이룰 수 있는지 주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