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분석] 문책없는 人事참사… 당·청 알력 수면위로
입력 2013-03-26 18:20 수정 2013-03-26 22:27
“여당이라고 무조건 청와대 뜻에 따라가는 시대는 지났다. 여당 원내대표쯤 되면 청와대가 뭐라고 해도 자기 소신대로 할 수 있어야 한다.”(이철우 새누리당 원내대변인)
새 정부 출범 이후 고위 공직 후보자들의 잇따른 낙마를 계기로 촉발된 청와대와 여당 간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새누리당 일부 지도부와 친박(親朴·친박근혜)계 의원들까지 청와대의 인사검증 책임자 문책을 요구하고 나섰지만 청와대가 사실상 이를 거부하면서 집권 초기 여권 내 힘겨루기로 비화될 조짐이다.
청와대에 대한 비판적 기류는 오는 5월 원내대표 경선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초·재선 의원들을 중심으로 청와대를 견제하는 지도부를 구성해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야 한다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정부조직법 협상에서 당이 청와대에 일방적으로 끌려 다녔다는 자성론과 함께 이번 기회에 청와대와의 관계를 재정립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철우 원내대변인은 26일 라디오에 출연해 “국민들이 자꾸 (여당을) 대통령의 눈치를 보는 당이라고 생각한다”면서 “정부를 견제하고 감독하는 역할을 잘 할 수 있는 (원내)대표가 선출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남경필 의원도 라디오에 나와 “(청와대와 당이) 건강한 긴장관계를 유지하며 협조와 견제를 병행하는 리더십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2008년 이명박 정부 출범 초기에 공신그룹인 정두언 새누리당 의원과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이 인사문제를 둘러싸고 ‘권력의 사유화’ 논쟁으로 충돌한 적이 있다. 이번에도 박근혜 정부 출범이후 내각이나 청와대에 입성한 친박 인사들과 당에 잔류한 친박들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면서 서로를 견제하려는 기류가 감지된다.
하지만 당·청간 갈등 및 친박계 내부 견제 양상이 실제 권력다툼으로 표면화할지는 미지수다. 박근혜 대통령의 성격상 측근들의 권력투쟁을 좌시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청와대가 ‘마이웨이’를 고수하는 한 새누리당과의 긴장관계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박근혜 정부 출범 후 첫 고위 당·정·청 회의가 30일 개최될 것으로 알려져 양측 갈등이 봉합될지 주목된다. 회의는 새 정부의 주요 인선이 마무리됨에 따라 상견례를 겸해 열리는 것으로 4월 임시국회에서 우선 추진할 주요 법안과 부동산, 물가대책 등을 논의할 것으로 전해졌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