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어린이집 60% 특활비 공개 약속 안지켜

입력 2013-03-26 18:10


서울시내 어린이집 10곳 중 6곳은 3월부터 특별활동비 내역을 공개하기로 한 약속을 지키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는 국공립 및 서울형 어린이집에 한 해 특별활동비 과목과 비용 등 7가지 항목을 공개하겠다고 지난 1월 발표했다. 하지만 서울시 보육포털서비스(http://iseoul.seoul.go.kr)에서 서울형 민간어린이집 983개 홈페이지를 접속해본 결과 특별활동비 내역이 공개된 어린이집은 404개(지난주 기준)에 불과했다. 나머지 579개(59%)는 ‘준비 중’이란 팻말만 내걸고 관련 정보를 아예 공란으로 처리했다. 특별활동비란 외부 강사가 담당하는 영어, 미술, 음악 등 과외비용으로, 무상보육 실시 이후에도 학부모 부담이 줄지 않는 주요인으로 지적돼 왔다.

가장 성적이 나쁜 지자체는 양천구로 5개 어린이집(이하 미공개율 87%)만 관련 정보를 올렸다. 이어 노원구(84%) 은평구(82%) 도봉구(81%) 동대문·강남구(80%) 순이었다. 반면 마포구는 관내 민간어린이집 32개 전체가 관련 정보를 빠짐없이 올려 유일하게 공개율 100%를 기록했다.

자치구별로 특별활동비 상한액도 크게 차이가 났다. 상한액 최고는 강남구 민간어린이집(월 17만원)으로 서대문·은평구 국공립 어린이집 특별활동비(6만원)의 3배 가까이 됐다. 강남구 민간어린이집이 상한까지 비용을 청구할 경우 추가 부담액은 연간 336만원, 월 28만원이었다. 실제 강남구 한 어린이집이 공개한 입학금, 현장학습비 등을 모두 더하면 305만원으로 월 25만원이 넘는다.

부모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겠다는 정부 발표와 달리 자치구별로는 기타비용 상한액을 인상한 곳도 있었다. 관심이 집중된 특별활동비 상한은 인상하지 않는 대신 다른 항목을 올리는 방식을 썼다. 서대문구의 경우 현장학습비를 연 2만원 올리고 기존에 없던 행사비 항목을 신설해 5만원을 추가했다.

이영미 기자, 조성은·황인호 수습기자 ym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