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문화재단, 출범 2년만에 좌초 위기… 부적격 인사·내부 갈등 겹쳐

입력 2013-03-25 20:17

광주문화재단이 출범 2년여 만에 좌초될 위기를 맞고 있다. 재단 사무처장이 사퇴하는 등 부실 및 방만 운영이 도마에 올랐다.

광주시는 25일 “2011년 1월 ‘시민이 행복한 문화공동체’ 실현을 위해 탄생한 광주문화재단에서 부적절한 인사와 심각한 내부갈등의 후유증이 한꺼번에 표출됐다”고 밝혔다.

이로 인해 민선 5기 강운태 시장의 공약에 따라 문을 연 이 재단의 노성대 대표이사와 박선정 사무처장이 지난 22일 동반 사표를 제출하는 등 진퇴양난에 처한 상태다. 시의원 출신인 박 사무처장의 사표는 수리됐으나, 대표이사는 재단운영의 연속성 유지 차원에서 재신임하는 것으로 가닥이 잡혔다.

하지만 관광업무 등이 시 관광진흥과와 중복된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문화 컨트롤 타워’의 정체성에 혼선이 일고 있다. 당초 문화예술진흥위원회와 공연예술재단을 통합한 이 재단은 그동안 각종 축제와 공연기획, 일부 관광업무까지 백화점식으로 떠안아 문화정책 개발 등 제 기능을 상실했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특정 공연과 예술장르에만 치중하면서 상당수 문화예술인들의 반발을 사는 상태다. 지역 문화예술인들과의 소통에도 소홀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재단은 출범 첫해인 2011년 채용공고와 서류전형, 면접시험을 생략하는 등 인사규정을 어기고 기간제와 무기계약 근로자 13명을 비공개 채용한 사실이 최근 감사원 감사에서 밝혀져 물의를 빚었다.

광주지역 문화예술계 한 관계자는 “전문성이 부족한 정치인 출신이 재단 인력을 ‘독불장군’식으로 뽑아 생긴 부작용”이라며 “조직 재정비를 통해 문화행정의 구심점 역할을 되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