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2기 교통카드사업 경쟁체제로”… 분야별로 기술력 뛰어난 업체 선정

입력 2013-03-25 22:13


서울시가 제2기 교통카드사업을 경쟁체제로 전환하기로 했다. 미사용 충전선수금은 사회에 환원된다.

시는 25일 ‘제2기 서울 교통카드사업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한국스마트카드가 독점해온 교통카드 사업에 투명성이 필요하다는 시민단체나 시의회의 지적을 적극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2기 교통카드 시스템은 통합정산(332억원), 교통카드(101억원), 단말기 운영관리(46억원) 등 입찰금액이 약 479억원이다.

시는 “합의서에 한국스마트카드의 교통카드사업 독점조항을 삭제했고, 통합정산 운영을 하던 LG CNS 소유의 우선주 35%를 시가 이양받아 1대 주주 지위가 강화됐다”고 설명했다. 시는 또 분야별 공개경쟁 및 분리발주로 기술력이 뛰어난 업체를 선정해 교통카드 분실·도난 때 잔액환불, 다중상품 탑재 교통카드 발행 등 첨단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할 방침이다.

아울러 시민들이 교통카드를 충전한 뒤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아 한국스마트카드가 보관 중인 장기 미사용 충전선수금 및 그 이자는 사회에 환원키로 했다. 시는 지난해 5년 이상 장기 미사용 충전선수금이 121억원, 이자는 31억원이라고 밝혔다. 시는 기금운영위원회를 구성, 저소득가정 청소년 교통비나 교통약자 이동편의 지원 등에 쓸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윤준병 시 도시교통본부장은 “새 시스템이 구축되면 경기도 등 지방자치단체의 통합거리 비례제의 안전성이 확보되고, 운송기관 수입금 배분의 정확성이 확보돼 신뢰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다른 지자체 교통카드업체의 참여는 배제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수도권 환승할인을 해주는 통합거리 비례제가 안착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경기도는 지난해 말 한국스마트카드에 버스요금 계산을 위한 시스템운영비 위탁계약을 해지하겠다고 통보했다. 경기도와 인천으로부터 매년 18억원씩 운영비를 지원받던 한국스마트카드가 운영비를 연간 90억원으로 인상하겠다고 통보했기 때문이다.

최정욱 기자 jw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