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도 ‘창조경제’ 구축 시동… 문화콘텐츠·中企 지적재산권 등에 금융지원 확대

입력 2013-03-24 18:34

새 정부에 발맞춰 은행권이 창조경제 구축에 시동을 걸었다. 문화콘텐츠 기업 등에 금융지원을 늘리고, 기술만 있어도 대출을 받을 수 있도록 적극 나서고 있다.

KB국민은행은 지속성장과 일자리 창출 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해 25일 민병덕 행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창조금융추진위원회’를 신설한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재무제표와 담보물 중심의 기업평가 모델을 기술적 가치와 지식재산권 평가로 바꿀 계획이다. 새로운 벤처기업 등 ‘시작하는 단계’의 기업이 좋은 재무제표나 담보물을 마련하기 힘든 만큼 기술력 평가에 비중을 둬 금융지원을 활성화하겠다는 취지다.

국민은행은 중장기 특화대출 상품을 다양화하고, 투자형 금융지원 프로그램도 운영할 방침이다. 문화콘텐츠, 정보기술(IT), 소프트웨어(SW) 등 분야에서 연관성이 있는 기업들이 모여 ‘클러스터’를 꾸리면 이들에게 공동으로 대출을 해주는 식이다.

보증기관 특별출연으로 예비창업자나 창업 초기기업, 연구개발(R&D) 기업에 7800억원 규모의 저금리 보증부 대출상품을 제공하고 우수기술 기업에는 보증서 없이 기술평가인증서만으로 신용대출을 해주는 안도 검토하고 있다.

KDB산업은행은 지난해 9월부터 운영하고 있는 ‘KDB테크노뱅킹’을 강화했다. ‘테크노뱅킹’은 지적재산권(특허 등)을 보유한 중소기업이 기술력을 담보로 금융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산업은행이 운영하는 공적 펀드에 특허를 넘겨 지적재산권을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고, 맡긴 특허에 대한 우선매수권을 행사할 수도 있다.

산업은행 김한철 수석부행장은 “기술 사업화와 기술금융 활성화를 촉진해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찬희 기자 c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