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공무원 100만명 시대… 행정기관 정원 한도 29만여명으로 2만명 늘려
입력 2013-03-24 18:12 수정 2013-03-24 18:19
안전행정부가 지난 22일 정부조직법 개편으로 본부 소속 공무원 수 기준 최대 부처가 됐다.
안행부는 24일 본부 소속 정원이 1146명이라고 밝혔다. 고위공무원 1명을 포함한 31명을 미래창조과학부로 보내고 공통지원부서에서 8명을 줄였지만 17개 정부 부처 중 가장 많다. 본부 정원이 204명으로 가장 적은 통일부의 5배가 넘는 규모다.
이는 지난 정부에서 1227명으로 본부 정원이 가장 많았던 국토해양부가 새로 국토교통부와 해양수산부로 분할됐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안행부 측은 “추가적인 기구 증설이나 인력 증원 없이 현행 기구와 정원 범위 안에서 기구를 신설·재편했다”고 설명했다.
안행부에 이어 국토교통부는 본부 소속 정원 956명으로 2위에 올랐고 기획재정부(936명), 외교부(845명), 산업통상자원부(799명)가 뒤를 이었다. 또 새 정부의 핵심부처로 당초 본부 정원만 1000명 이상 될 것으로 예상됐던 미래창조과학부는 국회 협상 과정에서 770명 규모로 축소됐다. 반면 미래창조과학부에 202명을 보낸 교육부는 정원이 518명으로 줄었다. 이 밖에 여성가족부는 227명, 통일부는 204명이었다.
한편 정부는 지난 23일 행정기관 국가공무원 정원 최고한도를 기존 27만3982명에서 29만3982명으로 2만명 늘리는 내용의 ‘국가공무원 총 정원령 개정안’을 공포했다. 여기에는 국회, 법원, 헌법재판소, 선거관리위원회, 감사원소속 공무원과 검사 및 교원은 포함되지 않았다. 안행부 관계자는 “새 정부 핵심공약 중 하나인 경찰 2만명 증원과 소방공무원 및 사회복지 공무원을 단계적으로 늘리기 위해 정원 상한을 확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리나라 입법·행정·사법부 소속 공무원 수는 지난해 11월 말 기준 98만8755명이다. 따라서 정원 상한 확대가 진행돼 2만명이 더 늘면 국내 공무원 수는 조만간 100만명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됐다.
최정욱 기자 jw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