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보 위기 국면, 돌고 돌아 ‘구관이 명관’… 김관진 국방 유임 안팎
입력 2013-03-22 18:28 수정 2013-03-23 00:39
박근혜 대통령이 김관진 국방부 장관을 유임시킨 것은 이명박 정부의 국방수장을 새 정부에 그대로 임명해야 할 정도로 현재의 한반도 안보상황이 다급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낙마한 김병관 국방부 장관 후보자를 대체할 새 인물을 찾기도 쉽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어쨌든 김 장관 유임으로 박근혜 정부의 1기 내각은 완성됐다.
김행 청와대 대변인은 22일 유임 배경으로 “안보위기 국면 때문”이라고 밝혔다. 북한의 전쟁 위협에다 방송국·금융기관에 대한 사이버 테러까지 벌어진 마당에 박 대통령으로서는 새 국방부 장관 후보자를 고르고, 검증하고, 국회 인사청문회 절차를 또 거쳐야 하는 시간적 여유가 없었다는 설명이다.
안보 문제에 관한한 전(前) 정부와 현 정부가 따로 없다는 박 대통령의 생각도 작용한 것 같다. 김 장관 유임이 일종의 고육지책이긴 하지만 그가 특유의 카리스마로 국방 행정을 펼쳐온 만큼 새 정부에서도 충분히 잘 해낼 것으로 봤다는 것이다.
박 대통령은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등에 대한 임명장 수여식에 함께한 김 장관에게 “계속해서 중책을 맡아 일하시게 됐다”며 “사실 외교나 민생, 모든 부분이 튼튼한 안보와 국방의 뒷받침 없인 불가능하니 계속해서 열심히 해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또 “북한이 도발수위를 계속 높여가고 있다. 국민들이 불안하지 않도록 철저하게 파악해 안보 면에서나 국민 안전 면에서 최선을 다해 달라”고 말했다.
김 장관도 유임 일성(一聲)으로 “북한에 대한 대비태세를 철저히 유지하면서 (도발에 대비한) 응징태세도 고도로 갖출 것”이라며 “현재 안보상황에 똑바로 정진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장관은 청와대의 유임 요청을 받고 여러 차례 고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명박 정부의 장관이 새 정부에서 유임된 첫 케이스인 그는 김장수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윤병세 외교부 장관, 남재준 국가정보원장 등과 호흡을 맞추며 새 정부 외교안보 라인을 구축하게 됐다.
그동안 박근혜 정부의 외교안보 라인은 ‘컨트롤타워’ 역할을 해야 할 김 실장이 국회의 정부조직법 개정안 처리 지연으로 조직도 없는 상태에서 일해야 했다. 또 김 전 후보자가 사퇴하지 않고 버티며 각종 잡음만 노출해 그야말로 ‘절름발이’ 상태였다.
그러나 이제는 육사 선후배인 국가안보실장-국방장관-국정원장 안보 3인 체제에 미국통인 윤 장관이 가세해 외교안보 정책을 펼칠 수 있게 됐다. 남 원장이 육사 25기로 가장 선배이고 김 실장이 27기, 김 장관이 28기다. 박 대통령이 안보라인에 중용한 세 사람은 모두 4성 장군 출신으로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을 지낸 ‘작전통’이다.
김 장관은 청와대에서 나와 서울 용산 합참 군사지휘본부에서 새 정부 출범 후 처음으로 전군 주요 작전지휘관회의를 열고 대북 경계태세를 점검했다. 회의는 화상회의 형태로 진행됐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