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사 된 인사… 신뢰잃을 것” 민주당, 靑 부실인사 공격수위 높여

입력 2013-03-22 17:47 수정 2013-03-23 00:33


민주통합당이 성(性)접대 추문에 휘말린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의 사퇴를 계기로 22일 박근혜 정부 인사(人事)에 대한 공격 수위를 한층 높였다. 특히 김 전 차관 사퇴에 대해 대통령 사과와 청와대 민정수석의 사퇴를 요구했다.

서울 영등포 당사에서 오전에 열린 확대간부회의에서는 현 정부 인사와 관련된 문제 제기가 잇따랐다. 문희상 비대위원장은 “김 전 차관의 사퇴가 현 정부 들어 10번째 사퇴”라며 “인사가 만사(萬事)인데 현 정부 인사는 망사(亡事)가 됐다”고 꼬집었다. 문 의원장은 특히 “성 추문 사태와 관련된 여성 사업가의 인터뷰를 보니 사퇴한 김 전 차관 외에 이미 청문회를 치른 사람도 포함됐다는 점도 시사하더라”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권도 바뀔 수 있을 정도의 유력인사가 성접대를 받았다는 것인데 철저한 수사로 처벌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문 위원장은 청와대가 비대위 회의 6시간 뒤인 오후 3시에 현오석 경제부총리를 임명한 것을 전혀 몰랐던 듯 “현 부총리와 한만수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도 부적격자로 임명을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윤관석 원내대변인은 국회 본회의 도중 현 부총리 임명 소식을 듣고 “야당의 국정 협조에 돌아온 첫 응답이 현 부총리 임명이냐”며 “그는 무능력하고 무책임한 부총리”라고 반발했다.

박기춘 원내대표는 더 강경했다. 박 원내대표는 “청와대가 청문회가 필요 없는 차관 인사에 대해선 대충 넘어간 게 아닌지 모르겠다”고 비판했다. 이어 “초대형 부실검증 사고에 대해 청와대 민정수석이 사퇴하는 게 박 대통령의 명예를 지키는 일”이라고 했다. 설훈 비대위원도 “박 대통령이 본인의 인사 ‘수첩’을 빨리 아궁이에 넣지 않으면 국민의 사랑이 떠나갈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현 대변인은 “성접대 의혹이 검찰과 경찰, 국가정보원, 감사원 등 모든 사정당국이 연루된 전방위적 로비 의혹으로 확산되고 있다”며 “박 대통령의 사과는 물론, 청와대와 검찰 내부에서 이번 사건을 무마한 과정을 철저히 수사해야 한다”고 밝혔다.

손병호 김아진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