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 김학의 차관 낙마로 부글부글… “민정라인 ‘성접대’ 부실 보고 책임져야” 문책론 솔솔
입력 2013-03-22 17:43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이 낙마한 지 이틀째인 22일 청와대 민정라인 교체론이 여권에서 대두되고 있다. 인사 시스템의 문제점을 넘어 아예 인사 관련자에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현 사태는 민정라인이 검증과정에서 놓쳤거나 판단을 잘못해서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곽상도 민정수석을 비롯한 관계자들은 어떤 방식으로든 책임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고 밝혔다. 일괄교체도 배제할 수 없다는 설명이다.
특히 성접대 추문이라는 엽기적인 의혹으로 물러난 김 전 차관의 경우 민정라인이 관련 첩보를 인지하고도 박근혜 대통령에게 제때 보고를 하지 않았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청와대 관계자는 “성폭력을 사회악으로 규정하고 척결을 약속한 박 대통령이 그런 인사를 골랐을 리가 없다”고 강조했다. 청와대 주변에서는 다양한 경로로 김 전 차관 인선에 신중해야 한다는 보고가 민정수석실에 들어갔다는 얘기와 함께 문제가 불거진 뒤 보고를 받은 박 대통령이 대로했다는 설(說)도 나돈다. 의혹의 사실관계를 제대로 확인하지 못했든 알고도 묵살했든 민정라인의 잘못이라는 것이다.
‘비리상자’ ‘의혹백화점’이라는 온갖 수치스러운 별칭에도 무려 38일을 버틴 김병관(사진) 국방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도 청와대는 “결정적인 하자가 없다”며 두둔하기에만 급급했다. 하지만 주식 보유를 은폐한 사실이 드러나자 당황한 기색이 역력했다. 김 후보자 내정 뒤 가동된 민정라인이지만 추가 검증에 소홀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일각에서는 허태열 비서실장 책임론까지 거론될 조짐이다. 청와대 비서진 인선 과정에서 드러난 혼선에서부터 고위 공직자들의 잇따른 낙마까지 전체적인 인사 난맥상에 인사위원장인 허 비서실장의 잘못도 크다는 뜻이다. 다만 청와대 관계자는 “현재 단계에서 비서실장까지 언급하는 것은 너무 나간 것”이라며 조심스러운 모습을 보였다.
여당인 새누리당도 이례적으로 청와대를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상일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건설업자가 벌인 문란한 파티에 참석한 인사의 입에서 법무부 차관 이름이 오르내린다는 사실 자체만으로도 국민은 큰 충격을 받았을 것”이라며 “국민의 눈에 더욱 한심하게 비친 것은 청와대의 허술한 인사 검증”이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이 대변인은 “차관 인사에 문제의 법무부 차관이 수사선상에 올라 있었는데도 검증 부실로 발탁됐다”며 “‘본인이 부인하는데 도리가 없었다’는 청와대의 변명은 검증팀의 무능만 부각시킬 뿐 국민을 납득시킬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