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결핵환자 2020년까지 절반 줄인다… 노숙인 2700명 무료검진
입력 2013-03-21 22:10
서울시가 ‘결핵과의 전쟁’을 선포했다. 노숙인 무료 검진, 65세 이상 노인 이동진료, 학생 및 어린이 상시검진 등을 통해 시내 결핵환자 수를 2020년까지 절반으로 줄인다는 목표다.
시는 ‘제3회 결핵예방의 날(24일)’을 앞두고 21일 이 같은 결핵관리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시는 “5가지 핵심사업을 통해 2020년까지 결핵환자를 지금의 절반으로 줄여 한국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결핵발생률 및 사망률 1위라는 오명을 벗도록 도울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세계보건기구(WHO) 집계 결과 2011년 한국의 결핵 유병률은 10만명 당 149명으로 OECD 34개 국가 중 1위다. 또한 질병관리본부 등에 따르면 2011년 전국 신고 결핵환자 3만9557명 중 1만396명(26%)이 서울에 살고 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4월부터 동자동 등 5개 쪽방촌과 서울역, 영등포역 주변 노숙인 2700명에 대한 무료 검진을 실시하기로 했다. 쪽방상담소, 25개 보건소 등과 연계를 통해 결핵 유소견자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치료와 관리를 실시할 예정이다. 시내 전체 결핵환자의 30% 가량을 차지하는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는 이동진료를 통해 1대1 관리를 병행한다는 계획이다.
시립서북병원에는 결핵 전문지원센터를 신설, 시의 결핵 컨트롤타워로 운영하고 결핵병상도 확충키로 했다.
아울러 교육청과 연계한 상시 검진시스템도 구축, 집단생활을 하는 초·중·고교 학생들과 어린이시설 아동들이 감염됐을 경우 초기 대응력을 높이기로 했다. 지난해 시내에서는 64개 학교에서 신고 결핵환자 79명, 결핵감염자 1113명이 발생했다. 또한 약에 대한 내성이 생겨 치료가 까다로운 저소득 다제내성 결핵환자의 경우엔 집중 관리를 통해 치료 성공률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시는 특히 다제내성 환자들에 대한 진료비 전액 지원을 위해 보건복지부에 예산 확대를 건의했다.
시 관계자는 “결핵은 초기에 발견하면 얼마든지 완치 가능한 질병이어서 무엇보다 조기검진과 치료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최정욱 기자 jw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