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연일 잡음 증폭… 기초선거 무공천 이어 노원병 보선 전략공천 논란까지

입력 2013-03-21 18:52


새누리당의 기초단체장·기초의회의원 후보자에 대한 무(無)공천 논란이 내분으로 치닫고 있다. 여기에 국회의원 보궐선거 지역인 서울 노원병에 대한 전략공천 논란까지 더해져 공천 잡음이 연일 증폭되고 있다.

일부 최고위원들은 전날에 이어 21일 최고위원회의에서도 당 공직후보자추천위원회(공추위)의 기초단체장·기초의회의원 공천권 반납 결정에 강하게 반발했다. 심재철 최고위원은 공직후보추천권을 명시한 당헌 49조를 언급하며 “사람이 없으면 무공천할 수 있지만 후보자가 있는데도 무공천을 결정할 권한은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공천 결정권은 최고위에 있다”면서 ‘백지상태’에서 현지 의견을 다시 듣자고 촉구했다. 유기준 최고위원도 “민주통합당은 정당 공천을 하겠다는 입장인데 우리만 (무공천을)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가세했다.

공추위원장인 서병수 사무총장은 즉각 반박했다. 서 총장은 전략공천, 경선, 단수후보공천 등 공추위가 공천 방식을 결정해온 관례를 언급하며 “전략지역으로 생각해서 공천을 안 할 수도 있으니 그 뜻(무공천 권한이)이 (당헌에) 내포돼 있다”고 다른 해석을 내놨다. 조원진 전략기획본부장도 “대선 때 대통령 후보자가 무공천을 공약할 때 누구도 반대하지 않았다”면서 “당 지도부가 공천 문제를 전체의원·당원의 이름을 걸고 얘기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거들었다.

공추위가 국회의원 재·보궐선거 후보자를 전략공천 등의 절차를 거치지 않고 조기 공천하려는 움직임도 논란이 되고 있다. 한 공추위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세 지역 모두 그간 유력하게 거론된 인사들이 무난하게 공천되지 않을까 한다. 늦어도 다음주 중 결정이 날 것 같다”고 내다봤다. 현재 거론되는 후보군은 허준영 전 경찰청장(노원병), 김무성 전 의원(부산 영도), 이완구 전 충남지사(충남 부여·청양) 등이다. 한 재선 의원은 “세 곳 중 한 곳 정도 잃어도 다른 것을 챙긴다는 발상은 정치공학적 판단”이라고 지적했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