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프로스 유동성지원 중단 검토” 유럽중앙은행 압박… 키프로스 정부 새 구제금융안 표결
입력 2013-03-21 18:35 수정 2013-03-21 22:50
키프로스가 의회 반발로 부결된 구제금융안의 내용을 수정해 21일(현지시간) 다시 표결에 부쳤다.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26일까지 은행영업 중단 조치도 추가로 연장했다.
하지만 정작 돈줄을 쥔 유럽연합(EU)이나 유럽중앙은행(ECB), 국제통화기금(IMF) 등은 새로운 구제금융안에 대해서도 싸늘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구제금융안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긴급유동성지원을 중단하겠다고 압박했다.
니코스 아나스타시아데스 키프로스 대통령은 의회의 부결에 따라 새롭게 마련한 구제금융안을 갖고 21일 오전 야당 지도자와 만나 협조를 당부했다. 이와 함께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이날까지 지정했던 ‘임시은행휴무’도 26일까지 2차 연장했다.
키프로스가 마련한 새로운 구제금융안은 각종 기금과 부동산 등을 국유화해 국채를 발행한 뒤 42억 유로(약 6조360억원)를 마련하고 나머지는 10만 유로 이상 예금에 대해 5%를 물리고 그 이하에 대해서는 1%의 세금을 부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통해 58억 유로를 마련한다는 것이다. 앞서 키프로스 의회는 19일 2만 유로 미만 예금은 면세하고 2만∼10만 유로 미만은 6.75%, 10만 유로 이상은 9.9%의 세금을 부과하는 내용의 구제금융안을 표결에 부쳤으나 부결시켰다.
문제는 키프로스의 새로운 구제금융안에 ECB 등이 탐탁지 않게 여긴다는 점이다. ECB 등은 키프로스가 준비한 ‘플랜B’로 자금을 마련하더라도 이 돈이 또 다른 채무라 결국 부담으로 돌아올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이와 관련 ECB는 “키프로스에 대한 현재 수준의 긴급유동성지원을 25일까지만 유지할 것”이라고 강조해 키프로스 정부를 압박했다. IMF 등의 구제금융안을 수용하지 않으면 국가부도를 용인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한 것이다. 유로존 재무장관 의장인 예룬 데이셀블룸 의장은 키프로스에 대한 구제금융의 대안이 많지 않다고 말했다.
피치와 무디스 등 신용평가사들도 키프로스의 신용등급 강등을 검토하고 있다. 피치는 성명을 통해 “새로운 구제금융안이 의회를 통과한다면 키프로스 은행의 신용등급은 제한적 채무불이행(Restricted Default)으로 바뀔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제훈 기자 parti98@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