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회생 ‘숨통’… 주민투표가 고비

입력 2013-03-21 17:48

채무불이행(디폴트)으로 파산 위기에 몰렸던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이 회생 발판을 마련했다. 용산개발 사업 최대주주인 코레일이 사업 정상화의 전제조건으로 내건 기득권 포기 요구를 민간 출자사 대부분이 받아들이기로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부 출자사들의 반발이 여전한 데다 오는 6월 서부이촌동 주민 재투표 결과에 따라 사업추진에 제동이 걸릴 수도 있다.

삼성물산은 21일 코레일이 요구한 1조4000억원 규모 랜드마크 빌딩 시공권 반납을 받아들이기로 방침을 정했다.

삼성물산 관계자는 “시공권 반납은 수용키로 했고 이 같은 의견을 다음 주 초 코레일에 전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삼성물산은 사업부지 토지정화사업과 폐기물처리 등에 대한 미수금 271억원을 코레일이 결제하는 방안 등 세부 협의를 마치는 대로 시공권 반납 의견을 공문 형식으로 코레일에 제출할 계획이다.

삼성물산이 코레일 요구를 수용키로 한 것은 전환사태(CB) 인수에 투입한 자금을 회수하지 못한 채 소송전에 돌입하는 것보다 코레일 방안에 손을 들어주면서 앞으로 시공물량 입찰에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겠다는 포석이 깔린 것으로 풀이된다.

코레일은 앞서 삼성물산이 랜드마크 빌딩 시공권을 내놓으면 초기 출자액 640억원(지분 6.4%)을 제외하고 추가로 투자한 CB 688억원을 돌려주기로 제안했었다.

삼성물산을 제외한 건설 출자사 16곳도 사업 무산 시 손실 등을 고려해 코레일 방안을 조건부로 수용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용산개발 시행사 2대 주주인 롯데관광개발은 코레일 요구에 대해 거부감을 드러냈다. 롯데관광개발은 이날 코레일에 구체적인 자금조달 계획을 요구하고, 사업 무산 시 손해배상 청구 소송 포기에 반대하는 내용을 담은 공문을 제출했다. 또 코레일이 시행사와 자산관리회사 경영권을 확보하겠다고 밝힌 것과 관련해서도 견제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코레일은 민간출자사의 의견이 취합되는 대로 사업계약 변경과 새 주주협약을 다음 달 2일 시행사인 드림허브 주주총회 특별결의 안건으로 올려 처리할 예정이다.

하지만 코레일 주도의 용산개발 새판 짜기는 해결할 문제가 산적해 있다. 우선 오는 6월 말까지 진행될 서부이촌동 주민 재투표 결과 6개 구역에서 찬성률이 50%를 밑돌면 사실상 사업을 추진하기 힘들 것이라는 의견이 있다. 서부이촌동 부지는 사업부지 51만㎡ 중 6만㎡로, 전체의 12.2%에 이른다. 총 사업부지 중 5%의 부지가 변경되면 사업 계획서를 바꾸지 않고 사업 추진이 가능하다. 그러나 주민 반대로 변경 부지 비율이 5%를 넘으면 서울시에 인허가를 다시 신청해야 하기 때문에 사업 추진이 어렵게 된다. 하지만 코레일은 2∼3개 구역의 반대로 5% 미만 지역만 제외(변경)되면 별도 사업계획 변경 없이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