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대북 제재 이후] 중국, 북한 식당 대대적 단속… 北 고위층 호화 쇼핑 여전
입력 2013-03-20 18:51
중국 당국이 유엔의 대북제재 결의에 따라 자국 내 북한 식당들에 대한 전례 없는 단속에 들어갔다. 그러나 북한 고위층은 여전히 중국에서 호화 쇼핑을 즐기는 등 상반된 풍경이 연출되고 있다.
20일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공안·해관(세관)·식품약품감독관리국 등 관계 기관은 최근 동북 3성과 베이징 등을 중심으로 북한 식당 단속 활동에 나섰다. 당국은 불시 단속 형태로 북한 식당에 들이닥쳐 종업원 불법 체류 여부, 북한산 주류·담배 등의 수입 허가 여부, 북한산 비아그라 등 미인가 약품 및 건강식품 판매 상황 등을 점검했다. 아울러 당국은 북한 식당에서 판매되는 마오타이주를 비롯한 중국 고급술의 진품 여부도 꼼꼼히 따졌다.
북한 식당들은 그동안 운영비용을 낮춰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각종 규정을 지키지 않아 적발된 사례가 많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정식 수입이 까다로운 주류 대부분은 북한과 평양을 오가는 국제 열차의 개인 수화물로 반입해왔다. 북한 식당에서 많이 팔리는 평양소주나 대동강맥주는 상당 물량이 이 같은 음성적 경로로 유입됐다. 또한 중국 식당에서 기념품으로 팔리는 비아그라를 비롯한 각종 약품과 건강식품은 대부분이 중국 당국의 정식 수입 허가를 거치지 않은 것들이다.
한편 20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베이징 주재 북한 대사관 인근 상점들은 변함없이 호황을 누리고 있으며, 북한 고객들은 별다른 어려움 없이 최신형 카메라나 평면TV와 같은 사치품을 구입하고 있다.
한 상점 주인은 “제품을 배에 실어 북한으로 직접 배송하기도 한다”면서 “(북한 사람들의 쇼핑이)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최근 주말이면 베이징 국제공항에서 가전제품들을 카트에 실은 북한 사람들이 고려항공 탑승 수속대 앞에 줄 서 있는 모습도 목격된다고 통신은 전했다.
유엔은 북한의 3차 핵실험 이후 고강도 대북제재 조치를 채택하고 수출 금지 대상에 요트와 고급 승용차, 보석류 등의 사치품을 포함시켰다. 향후 사치품 품목이 더욱 확대될 수도 있는 상황이지만 베이징의 북한 엘리트들은 유엔의 대북제재에 전혀 위축되지 않아 보인다는 것이 현지의 반응이다.
북한 고위층에게 인기를 끄는 고가 제품 대부분은 여전히 수출 금지 대상 품목에서 제외된 상태다. 중국 세관 통계를 보면 중국의 대북 사치품 수출은 최근까지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지난해 보석류 수출은 7750만 달러였고, 고가 음향장비와 TV 수출도 2007년에 비해 3배 이상 증가한 2억6690만 달러에 달했다.
맹경환 구성찬 기자 ichthu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