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보행자 우선도로 2013년내 지정 운영
입력 2013-03-19 22:46
서울시가 세종로에서 ‘주말형 보행전용거리’를 지난 17일 처음 시행한 데 이어 올해 안에 보행자 우선도로를 지정해 운영키로 하는 등 보행친화환경 조성에 나선다.
서울시는 통행차량과 보행자가 많아 교통사고 위험이 높은 서울시내 도로를 대상으로 보행자 우선도로를 조성하고, 차량 속도제한을 법제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19일 밝혔다.
시는 이를 위해 해방촌길, 국회단지길, 개봉동길, 능동길, 무교동길 등 5곳의 후보지를 대상으로 현장조사 뒤 상반기 중 2곳을 선정할 계획이다. 검토 중인 도로들은 폭 10m 이하에 보도 위 불법 주정차 차량이 많고 차량과 보행자가 뒤엉켜 교통사고 위험이 큰 곳들이다.
시는 사업대상 도로가 선정되면 하반기에 보행자 우선도로 조성에 들어갈 예정이다. 도로의 가장자리에 구획선을 긋고 안전바 등 보행 편의시설을 설치할 계획이다. 또 도로에 과속방지턱, 굴곡도로, 회전교차로 등을 설치해 차량 속도제한을 유도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경찰청과 협의해 이들 도로의 차량 최고속도를 시속 30㎞ 이하로 제한하는 방안도 추진키로 했다.
시는 보행자 우선도로를 운영한 후 효과를 분석해 내년부터는 적용도로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그동안 차량을 이용하던 일부 주민들이 보행자 우선도로 운영에 반발할 가능성이 있어 시는 신중을 기하고 있다.
이원목 시 보행자전거과장은 “주차공간이 부족해 보도 위에 주차하던 주민들이 민원을 제기할 가능성이 있어 대상지 선정이 지연될 수 있다”며 “해당 자치구의 추진 의지가 크게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는 도심 내 모든 교차로에 횡단보도 설치를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내년까지 광화문, 안국동, 흥인지문 등 주요 교차로에 모든 방향으로 횡단보도를 설치하고, 지하보도·육교지점에도 횡단보도를 설치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지난 1월 보행환경 및 제도 개선 등을 통해 현재 16%인 보행수단 분담률을 2020년까지 20%로 끌어올리겠다는 내용의 ‘보행친화도시 서울 비전’을 발표한 바 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