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중증장애인이 만든 상품 ‘외면’

입력 2013-03-19 21:53

대전시의 중증장애인 생산품 우선구매 실적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뢰와 배려, 협력, 나눔 등 사회적 자본 확충을 외치는 시의 정책 방향과도 어긋나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9일 대전시와 5개 자치구에 따르면 지난해 총구매액 집계 결과 중증장애인 생산품 구매액 비중이 1%를 넘은 기관이 한 곳도 없었다. 기관별로 살펴보면 대전시가 0.34%에 그친 것을 비롯해 중구가 0.26%로 가장 낮았고, 서구 0.28%, 유성구 0.46%, 대덕구가 0.65% 순으로 조사됐다.

물품 구입비와 수리비 등 지난해 총 구매액 1596억여 원 중 장애인 생산품 구매비는 5억8000여만원에 그쳤다.

중증장애인 생산품 우선구매 특별법이 2008년 제정돼 총 구매액의 1%를 구매토록 규정하고 있지만 지켜지지 않고 있다. 중증장애인 상품은 주로 사무용 복사용지, 화장지, 핸드타올, 인쇄물 등으로 일반 상품과 질적으로 큰 차이가 없는 제품이 대부분이다.

이처럼 장애인 생산품이 외면받으면서 대전시가 줄곧 외쳐온 사회적 자본 확충 방향과 궤를 달리하는 것 아니냐는 시각도 시청 안팎에서 형성되고 있다.

시는 사회적 자본 확충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올 초 전담조직을 신설하고, 조례를 제정하는 등 새 정부 기조에 맞춰 의욕적인 모습을 보였었다.

대전=정재학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