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 北 현안에 매우 집중… 핵 보유국 절대 불용”

입력 2013-03-19 19:59 수정 2013-03-19 22:40


미국이 북한에 대한 압박 강도를 높이고 있다. 그동안 대북 제재에 소극적이었던 중국과의 공조 노력도 한층 강화되는 분위기다.

제이 카니 백악관 대변인은 18일(현지시간) 정례 브리핑에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북한 관련 현안에 매우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오바마 대통령이 정전협정 폐기 등 북한의 최근 발언이나 행동과 관련해 한국, 일본 등 동맹국이나 중국과 적극적으로 접촉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었다. 그러면서 카니 대변인은 “미국은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받아들일 수도 없다”면서 “북한이 미국을 표적으로 할 수 있는 핵무장 미사일을 개발하는 동안 이를 수수방관하지도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카니 대변인은 미국이 중국과 러시아의 지지를 얻어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만장일치로 대북 제재 결의안을 통과시킨 점을 상기시키며 “매우 큰 의미가 있는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북한을 압박하고 고립시키는 한편 국제 사회에 동참할 수 있게 동맹 및 파트너 국가와 계속 긴밀하게 협조할 계획이며 이 점에서 미국의 입장은 매우 확고하다”고 강조했다.

미국 국방부도 한반도 인근에서 진행 중인 B-52 전략폭격기의 훈련 비행이 “북한에 대한 강력한 메시지”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조지 리틀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B-52 폭격기 비행이 통상적인 훈련의 일환”이라면서도 “북한의 위협에 대응해 우리가 확장된 억지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에 대해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런 가운데 미국 고위 관료들의 중국 방문도 잇따르고 있다. 19일 방중에 나선 제이콥 류 미국 재무장관은 러우지웨이 중국 신임 재정부장과 회담한 데 이어 시진핑 국가주석을 예방했다. 이날 방한한 데이비드 코언 재무부 테러·금융정보 담당 차관도 중국과 일본을 차례로 방문해 대북 제재 공조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존 케리 국무장관도 다음 달 동북아시아 순방의 하나로 중국을 방문하고, 마틴 뎀프시 미국 합참의장도 다음 달 중국을 찾아 중국 군부의 주요 인사들과 만난다.

중국도 움직이고 있다. 중국은 최근 자국 내에서 관행적으로 이뤄지던 북한 은행의 불법 영업을 금지시킨 것으로 전해졌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금융당국은 최근 대표부 형태로 베이징과 단둥, 훈춘 등에 사무실을 둔 단천상업은행, 조선광선은행, 조선대성은행, 황금의삼각주은행 등 북한 은행의 불법 영업을 금지했다. 이들 은행은 여신, 송금, 환전 등 업무를 할 수 없는 대표부 사무실을 내고도 음성적으로 무역대금 송금 등 업무를 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맹경환 기자, 베이징=정원교 특파원 khmae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