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그룹 신임감사 31% 권력기관 출신

입력 2013-03-18 18:39

올해 대기업 계열사의 주주총회에서도 어김없이 권력기관 출신 인사가 감사위원 자리를 휩쓸 것으로 보인다. 해당 기업과 이해관계가 얽혀 있던 유력 인사가 선임된 사례도 이미 나타났다. 대정부 로비용 발탁, 전관예우라는 비판이 잇따른다.

1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10대 그룹 소속 상장사가 올해 선임하는 감사위원 3명 중 1명은 전직 장관이거나 검찰·국세청·공정거래위원회 등 권력기관 출신인 것으로 나타났다. 총수가 있는 상위 10대 기업집단 소속 상장사 중 66곳은 올해 81명의 감사위원을 선임했거나 내정했다. 이 중 25명(30.9%)이 권력기관 출신이다.

검찰총장을 지낸 송광수 김앤장 법률사무소 고문은 지난 15일 삼성전자 정기 주주총회에서 사외이사를 겸한 감사위원으로 선임됐다. 검찰 재직 당시 송 고문은 삼성에버랜드의 전환사채(CB) 저가 발행에 따른 기업지배권 불법승계 의혹 수사를 지휘했었다.

김대환 전 노동부 장관은 LG 감사위원으로, 박찬욱 전 서울지방국세청장은 현대모비스 감사위원으로 재선임됐다. 오대식 전 서울지방국세청장은 SK텔레콤 감사위원으로 선임됐다. 두산인프라코어는 권태신 전 국무총리실장을, 롯데제과는 강대형 전 공정거래위 부위원장을 감사위원으로 각각 선임할 예정이다.

감사위원을 출신 직업별로 보면 교수가 35명(43.2%)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금융·재계(10명), 행정부 공무원(9명), 국세청(7명), 판사(5명), 계열사 임직원(4명), 검찰(3명) 순이었다.

정부는 실효성 논란이 그치지 않는 기업 감사위원회 제도의 보완책을 마련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경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