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 용산개발사업 정상화 방안, 민간출자사 반발에 ‘산 넘어 산’

입력 2013-03-17 18:56

코레일이 채무불이행(디폴트)에 빠진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 정상화 방안을 내놨지만 민간 출자사들의 반발 등으로 적잖은 진통이 예상된다.

17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코레일은 29개 민간 출자사들이 정상화 방안 수용 여부에 대한 의견을 다음달 1일까지 받은 뒤 2일 주주총회를 열어 특별결의로 처리할 계획이다. 정상화 방안이 주총을 통과하면 코레일이 주도권을 쥐고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하지만 정상화 방안이 주총 통과에 실패하면 용산개발 사업은 파산 절차를 밟게 된다.

앞서 코레일은 지난 15일 사업에 필요한 자금 2600억원을 전환사채(CB) 발행을 통해 긴급 지원하고 사업 시행사인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투자(PFV) 이사회를 코레일 중심으로 개편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정상화 방안을 제안했다. 대신 코레일은 삼성물산에 1조4000억원 규모의 랜드마크 빌딩 시공권을 포기할 것을 요구했다. 또 주주 간 협약은 폐지하고 정상화 합의 이후 사업이 무산될 경우 상호 간 일체의 금전적 손해배상 청구권을 포기할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일부 민간 출자사들은 “사업이 무산되면 민간 출자사들이 1조원을 허공에 날리는데 손해소송 등을 하지 말라고 하면 누가 가만히 있겠느냐”고 반문하고 있다.

특히 민간 출자사들이 정상화 방안에 동의한다 해도 6월 결과가 나오는 서부이촌동 주민 찬반 투표 결과에 따라 사업 무산 여부가 다시 갈리는 등 곳곳에 암초가 도사리고 있어 정상화가 쉽지 않다.

용산개발 사업 디폴트 여파로 인근 부동산 시장까지 꽁꽁 얼어붙을 위기에 처했다. 부동산114는 용산사업의 수혜지로 꼽혔던 용산구 이촌동·도원동·한강로3가와 마포구 공덕동·아현동 등 5개 지역의 아파트값을 조사한 결과 2010년 이후 현재까지 값이 오른 곳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