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시장 유통경로도 4∼5단계로 복잡… 농축산물 가격 43%가 유통비용

입력 2013-03-17 18:57


박근혜 대통령이 농축산물 가격 안정을 위해 근본적인 유통구조를 개선해야 한다고 밝힌 가운데 전통시장 농축산물의 유통비용이 40%를 넘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7일 연세대 산학협력단(책임교수 오세조)이 지식경제부에 제출한 ‘유통산업 구조개선을 통한 물가안정방안 연구’ 용역보고서에서 전통시장의 농축산물 유통비용은 평균 소비자가의 43.4%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소비자 지불가격을 100으로 놓았을 때 농가가 가져가는 비용은 이 가운데 56.6, 출하단계 유통비용 11.8, 도매단계 비용 9.6, 소매단계 비용 22.0에 달했다.

보고서는 “전통시장에서 판매되는 농산물은 유통과정에서 많은 단계를 거치다 보니 최종 소비자가격에서 유통비 비중이 매우 높아졌다”면서 “축산물의 유통단계는 4∼5단계로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한우는 평균 20.5%, 육우 17.2%, 돼지고기 30.2%, 닭고기 52.8% 등의 마진율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농산물은 전통시장에서 팔리기까지 기본적으로 생산자, 산지 유통인, 도매시장, 중간도매상, 소매상에 이르는 단계를 거치고 있다. 축산물은 생산자가 우시장이나 생산자단체 등 중간상인을 거쳐 도축장에 넘기고 이어 도매상과 육가공 공장 등을 지나 소매상에 이르는 구조다.

전통시장과 달리 대형마트에선 신선식품 상품군을 직접 매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물류비를 제외한 유통비용이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신선식품의 물류비용은 마트 판매가의 10∼20% 안팎이었다.

대형마트의 유통비는 전통시장보다 4분의 1 수준이었지만 농축산물의 손상이나 시세 변동 등에 따른 손실비용, 별도의 판매 관리비 등 관리비가 소매가의 40%에 달했다.

보고서는 “전통시장은 복잡한 유통경로와 영세한 규모에 따른 낮은 구매력으로 불필요한 유통마진이 생겨 다른 업태에 비해 가격 경쟁력이 떨어졌다”면서 “상인회나 동종 업종 상인들이 연합하는 공동구매 방식으로 구매력을 키워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대형마트는 판매 관리비를 줄이기 위해 현재의 중소상공인과 상생방안을 거스르지 않는 수준에서 새로운 사업 모색을 통한 영업이익 확대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협력단은 농축산물과 오픈프라이스 등 가격제도를 확인해 달라는 지경부의 의뢰를 받아 2011년 3월부터 7월까지 조사를 진행했다.

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