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원내대표 선거, 與권력지형 중대변수… 친박 선출땐 朴친정체제로
입력 2013-03-17 18:11
5월 초로 예정된 새누리당 원내대표 선거가 여권의 권력지형에 변화를 줄 수 있는 중대 변수로 부상하고 있다. 새로 꾸려질 여당 지도부가 당·청 및 대야 관계를 어떻게 가져가느냐에 따라 박근혜 정부 초기 모습은 크게 달라진다.
새누리당의 선택지는 크게 두 가지다. 차기 원내대표로 친박근혜계 실세를 뽑아 박 대통령의 친정체제를 구축하거나 아니면 비박계 혹은 중립지대 인물을 선택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는 청와대와 긴밀히 교감할 수 있는 친박계 인사가 차기 원내대표로 적합하다는 의견이 많다. 한 의원은 17일 “박 대통령의 대선공약을 뒷받침할 입법 현안이 산적해 있다”며 “청와대와 소통하면서 국정 운영에 힘을 실어줄 수 있는 인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경찰청장 임기를 보장하겠다”는 대선 공약까지 어겨가며 4대 권력기관장을 전원 교체하는 등 ‘칼바람’ 이는 매서운 국정운영을 예고한 상태다.
친박 중에서는 4선의 이주영 의원과 3선의 최경환 의원이 유력한 후보로 거론된다. 이 의원은 대선캠프 특보단장 등을 맡은 신(新)친박으로 꼽히고, 최 의원은 박 대통령의 최측근이다. 내년 부산시장 선거 출마설이 나오는 친박 4선 서병수 사무총장도 원내대표 출마를 고민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비주류 진영에서는 차기 지도부가 박 대통령의 친정체제로 꾸려질 경우 집권여당이 청와대의 거수기로 전락할 수 있다고 비판한다. 실제로 정부조직법 개정안 협상 과정에서 새누리당은 청와대 눈치만 살피는 모습을 보였고, ‘무기력한 집권여당’이라는 내부 비판이 적지 않았다. 법안의 단독 처리가 사실상 불가능한 ‘국회선진화법 체제’에서 여당이 존재감을 찾으려면 청와대를 향해서도 적절한 목소리를 내야 한다는 것이다. 또 대야 강경론을 펼치는 친박 지도부가 꾸려질 경우 국회는 파행을 거듭할 가능성이 높다.
비박계 중에는 쇄신파 대표 격인 5선의 남경필 의원이 출마할 가능성이 있다. 남 의원은 지난해 5월 원내대표 선거 당시 1차 투표에서 이한구 원내대표에게 1표 차이로 이겼으나 2차 결선투표에선 6표 차로 뒤진 바 있다. 문제는 남 의원 등 비박계 원내대표가 나올 경우 당·청 관계에 불협화음이 벌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청와대와 여야가 서로 따로 움직이면 새 정부가 순항하기는 더욱 힘들어진다. 결국 청와대와 소통하면서 야당과도 두루 협력할 수 있는 인물이 가장 좋다는 반응이나 이 조건을 충족시키기는 쉽지 않는 상황이다.
4월 재·보궐선거 결과도 여권의 권력지형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안철수 전 서울대 교수가 서울 노원병에 출마하면서 정치권에 새 정치 혹은 쇄신 욕구가 강해질 수 있다. 또 부산 영도에 출마하는 김무성 전 원내대표가 당선돼 여의도에 재입성할 경우 여권의 구심점으로 부상할 수도 있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